30일 삼성전자가 환경부, 경기도와 5개 시,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정장선 평택시장, 이상일 용인시장,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한화진 환경부장관,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이재준 수원시장, 정명근 화성시장, 이권재 오산시장,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삼성전자 제공
30일 삼성전자가 환경부, 경기도와 5개 시,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정장선 평택시장, 이상일 용인시장,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  한화진 환경부장관,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이재준 수원시장, 정명근 화성시장, 이권재 오산시장,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환경부, 경기도와 5개 시(수원·용인·화성·평택·오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하수처리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30일) 오전 삼성전자 반도체 화성캠퍼스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한화진 환경부장관과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5개 시장들과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안병옥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수원·용인·화성·오산시 공공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반도체 사업장에서 필요한 공업용수 수준으로 처리해 삼성전자 기흥·화성·평택 사업장에서 공급받게 된다. 각 사업장에 공급된 방류수는 추가 공정을 통해 초순수로 만들어져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에 사용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라인 증설에 따라 2030년이 되면 반도체 사업장에 필요한 공업용수가 현재의 두 배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취수량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공업용수를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왔다.

지난 9월에는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반도체 국내 사업장의 '물 취수량 증가 제로화'를 밝힌 바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전자가 공급받을 수 있는 용수의 양은 하루 약 47만4000t, 연간 1억7300만t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필요한 공업용수를 자연에서 추가 취수하지 않고, 공공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재이용하면서 물 부족 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반도체 생산 취수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노후 설비 교체, 제조공정 개선, 신기술 개발 등 용수 사용량 최적화 활동과 취수량 저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