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서 5․18 명시 안해
"역사에 대한 자기 부정...분노를 넘어 참담" 

국립5·18민주묘지(사진=광주광역시)
국립5·18민주묘지(사진=광주광역시)

교육부가 교육과정 개편 과정에서 5·18민주화운동을 삭제한 것에 대해 광주 지역 정관계와 시민사회의 공분이 확산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4일 오전 성명서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은 시민의 피와 헌신으로 일군 민주화운동의 노력이었다"며 " 5·18광주민주화운동을 교육과정에서 삭제한다는 것은 천부당만부당하며, 역사를 지우는 행위"라고 맹렬히 성토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도 이날 "5·18민주화운동은 이미 역사적 평가를 통해 국가기념일로 지정됐고, 관련 기록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며 "역사에 대한 자기 부정은 오히려 준엄한 심판만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정선 광주교육감과 김대중 전남교육감도 "민주주의 교육의 후퇴",  "민주화운동 교육 약화" 등을 언급하며 국가교육위원회에 5·18민주화운동 재명시를 강력 요청했다. 

지역내 군소정당인 정의당과 민생당 광주시당도 비판의 대열에 합류했다. 정의당은 "겉과 속이 다른 언행 불일치의 대통령과 정부를 보고 있는 것 같아 분노를 넘어 참담하다"는 평을 내놓았고, 민생당은 "5.18의 역사적 진실을 감추려는 교육부의 근시안적 정치행위는 규탄 받아 마땅하다"고 논평했다. 

광주시 무소속 기초의원단도 "오월정신은 국민통합의 주춧돌"이라며 "교육까지 정권의 입맛에 맞추는 거짓말 정권이거나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5월 정신은 보편적 가치의 회복이고 자유민주주의 헌법정신 그 자체라고 한 것은 윤석열 대통령 본인"이라며 "역사를 부정하는 정권은 혹독한 역사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교육과정 대강화 간략화 방침에 따른 것"이라며 "의도는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기존 교과서에서는 5·18 민주화운동은 4·19 혁명과 6월 민주항쟁과 함께 기술되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 

지역 정관계 인사는 "교육부는 이번 조처가 윤석열 정권의 역사 퇴행과 반민주 성향에 박자를 맞춘 행태라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전남=차정준 선임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