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작물직불제, 가루쌀 생산단지 조성 등 
"농가 경영안정 지원, 경쟁력 강화"

쌀 수확 장면(사진=전라남도)
쌀 수확 장면(사진=전라남도)

전라남도가 식량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가루쌀 생산단지 조성 사업 등 핵심 12개 사업에 7천 550억 원을 지원한다.

전남도는 9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식량안보가 위협받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남도는 그러면서 이번 지원을 통해 "쌀 적정 생산 및 생산비 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 제고, 기후변화로 잦아진 재해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농가의 경영 안정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먼저 밀, 콩 등 주요 곡물의 자급률 향상과 쌀 적정 생산 분야에 가루쌀과 콩 등 전략작물직불제 400억원(전국의 35%)을 지원한다.

또한 가루쌀 생산단지 조성 13개소에 27억원(전국의 44.4%), 논 타 작물 재배 지원 1천875ha에 37억원 등 3개 산업에 걸쳐 총 464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산비 절감 분야에 규모화된 들녘 별 식량작물 공동경영체 104개소에 129억원, 공동 육묘장 설치, 광역방제기 등을 지원하는 농산물 생산비 절감사업에 157억원을 투입한다. 

이밖에 기계화가 열악한 밭작물의 기계화를 촉진하기 위한 다목적 소형 농기계 5천884대 150억원, 이동식 다용도 작업대 4천대 21억원, 영농안전장비 2만 2천조 14억 원 등 3개 사업에 18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농가 기본소득 보전 및 경영안정망 구축 분야에는 공익직불제 22만 6천ha에 4천725억원, 벼 경영안정대책비 13만4천호에 570억원, 자연재해 등 대비한 농작물 재해보험 14만ha에 1천170억원, 농업인 안전보험 12만 6천 명에게 150억원 등 4개 사업 6천615억원을 지급한다.

특히 올해는 '농업농촌공익직불법'이 개정됨에 따라, 지난해까지 공익직불금 지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농지(2017~2019년 중 1회 이상 종전의 직불금을 지급받은 실적이 없는 농지)도 신청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전남 농업인 5만 4천 명에게 337억여원이 추가 지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강효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밀, 콩 등 식량 자급률 제고와 생산비 절감, 농가 경영 안정 등을 중점 지원해 식량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면세유 인상액 전국 최초 지원 등과 같은 도민 행복시책을 지속해서 발굴,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전남=차정준 선임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