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대응시 '행동매뉴얼' 미준수, "업무숙지 필요"
추경 50억원 추가 확보, 총 164억원 투입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12일 발생한 덕남정수장 수돗물 유출 사고 당시 '행동 매뉴얼'이 지켜지지 않았다며,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마련을 지시했다.
강 시장은 16일 오전 시청에서 개최한 확대간부회의에서 "지난 2월 12일 사고 발생 이후, 우리시는 최악의 단수 사태를 막고자 최선의 노력을 기울였다"며 아쉬움을 피력했다.
이어 "그러나, 사고 발생 이후, 상수도사업본부와 시민안전실의 보고를 받고, 주요 간부들과 수습 대책 회의를 거치면서 우리의 대응과 수습 과정에 많은 문제점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이날 강 시장이 밝힌 사고 대응 문제점은 △행동매뉴얼 미준수 △재난안전상황실 상황 전파 지체 △재난안전문자 송출 요청 지체 △급수 중단 지역 시민 안내 부실 등이다.
강 시장은 그러면서 담당 공무원으로 하여금 재난유형별로 마련된 '행동매뉴얼'을 숙지하고 충실히 이행할 것을 당부했다.
강 시장은 "이번 사고에서도 현장의 식용수 사고 현장 매뉴얼은 1년에 2회 이상 훈련하게 되어 있는데, 이를 충실히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전 공직자가 담당하는 업무의 재난 행동매뉴얼을 숙지하고, 즉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철저하게 훈련해 달라"고 강조했다.
앞서 강 시장은 전날인 15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덕남정수장 밸브 고장으로 수돗물 공급이 끊긴 데 대해 불편과 혼란을 드려 죄송하다"며 대시민 사과를 발표한 바 있다.
광주시는 이에 따라 단수 사고로 피해를 입은 상가와 시민들에게 대해 해당 구청 상수도요금센터를 통한 보상 신청과 심의 절차를 거쳐 보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재발방지를 위해 인근 정수장의 송수관로 밸브를 자체점검하고, 영산강유역환경청·수자원공사·상하수도협회 등 전문가들이 참여한 정밀진단에도 돌입하기로 했다.
특히 현행 노후상수도관 정비 사업에 배정된 사업비(114억원)에 더해 추경 50억원을 추가로 확보해 총 164억원 투입할 방침이다.
[광주·전남=차정준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