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만들기'에 앞장섰던 지역과 연령대 중 경북과 60세 이상만 ‘긍정’이 높아
국민 10명 중 6명은 오늘(10일) 취임 1주년을 맞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 1년간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이었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6~8일 전국의 유권자 2,003명을 대상으로 윤 대통령의 1년간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 의견을 물었더니 ‘긍정’ 38.0%, ‘부정’ 60.4%, ‘잘 모름’ 1.6%로 집계됐다.
20대 대통령 취임 당시 윤 대통령에 대한 국정운영 기대치는 긍·부정적 시각이 51.4%, 43.8%였다.
지난 1년 국정운영 부정평가는 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대통령 만들기’에 적극적 지지를 보냈던 지역과 연령대 중 경북과 60세 이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과 연령대에서 높았다.
지역별 부정평가는 서울(긍정 35.0%, 부정 64.2%)과 경기·인천(긍정 37.3%, 부정 62.0%), 대전·세종·충청(긍정 47.0%, 부정 51.9%), 광주·전라(긍정 20.4%, 부정 77.5%), 대구·경북(긍정 44.7%, 부정 51.7%), 부산·울산·경남(긍정 42.3%, 부정 54.0%), 강원·제주(긍정 43.2%, 부정 56.8%) 등 전 지역에서 높았다.
지역을 광역별로 세분하면 수도권에서 경기는 긍·부정이 각각 36.5%와 63.2%, 인천은 41.0%와 56.4%였다.
충청권은 대전(긍정 43.7%, 부정 56.3%), 충남(긍정 44.7%, 부정 52.5%), 충북(긍정 48.9%, 부정 51.1%) 순으로 부정평가가 높았다.
호남권은 전북(긍정 10.6%, 부정 86.7%), 광주(긍정 18.4%, 부정 81.6%), 전남(긍정 31.7%, 부정 65.4%) 순으로 부정평가가 높았다.
T.K지역에서 대구(긍정 38.5%, 부정 57.4%)는 부정평가가 높았고, 경북(긍정 50.1%, 부정 46.5%)만 유일하게 긍정평가 3.6%P 높았다.
P.K지역에서의 부정평가는 울산(긍정 31.4%, 부정 62.6%), 경남(긍정 42.5%, 부정 54.9%), 부산(긍정 45.8%, 부정 50.4%) 순으로 긍정평가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긍정 22.2%, 부정 74.0%), 40대(긍정 27.7%, 부정 70.5%), 30대(긍정 32.8%, 부정 66.3%), 50대(긍정 38.2%, 부정 61.1%) 순으로 부정적 민심이 매우 높았다. 특히 윤 대통령 당선에 적극적 지지를 보냈던 20대 남성의 등 돌림이 매우 컸다.
다만 60대 이상(긍정 54.7%, 부정 44.0%)은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두 자릿수 많았다.
또 남성(긍정 37.0%, 부정 61.8%)이 여성(긍정 39.0%, 부정 59.1%)보다 부정평가가 높았으며,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긍정 14.7%, 부정 84.4%)의 압도적 부정평가는 물론 중도층(긍정 34.9%, 부정 63.6%)에서도 부정평가는 긍정평가보다 28.7%p나 많았다. 반면 보수층(긍정 67.2%, 부정 31.7%)은 윤 대통령에 대한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긍정평가 이유 1위는 '전반적 정책 방향'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751명) '전반적 정책 방향'(32.5%), '외교·안보 정책'(29.8%), '현안·사건 대응',(14.9%) '경제·민생 정책'(7.2%), '도덕성'(6.6%), '국민 소통'(3.9%) 순으로 나타났다.
‘긍정’ 이유로 가장 많은 '전반적 정책 방향'이라는 응답은 서울과 인천·경기가 각각 34.1%, 31.7%인 데 이어 △대전·세종·충청 37.4% △광주·전라 32.4% △대구·경북 32.8% △부산·울산·경남 30.7% △강원·제주 24.3% 등으로 대전·세종·충청 중 특히 충북(42.0%)이 가장 많았다.
또 연령대에서 40대 40.4%를 필두로 △20대 30.4% △30대 28.3% △50대 37.0% △60대 이상 29.8%가 응답했다. 또 국민의힘 지지자 34.3%와 이념성향 진보 27.0%, 중도 33.5%, 보수층 34.7%가 긍정평가 이유라고 답했다.
다음 '외교·안보 정책'이라는 응답은 서울과 인천·경기가 각각 34.2%, 31.3%인 데 이어 △대전·세종·충청 28.5% △광주·전라 15.4% △대구·경북 27.3% △부산·울산·경남 27.4% 등이고, 강원·제주가 가장 높은 37.7%였다.
또 연령대에서 △20대 34.9% △30대 34.1% △40대 28.0% △50대 27.9% △60대 이상 28.9%가 응답했다. 특히 20대는 전체적으로도 가장 높았다. 또 국민의힘 지지자 31.6%와 이념성향 진보 24.5%, 중도 28.8%, 보수층 33.7%가 '외교·안보'를 긍정평가 이유라고 답했다.
이어 '현안·사건 대응'이라는 응답은 서울과 인천·경기가 각각 16.0%, 16.2%인 데 이어 △대전·세종·충청 12.3% △광주·전라 14.2% △대구·경북 19.7% △부산·울산·경남 10.9% △강원·제주 12.6% 등이었다.
또 연령대에서 △20대 11.6% △30대 12.7% △40대 12.2% △50대 13.8% △60대 이상 17.5%가 응답했다. 또 국민의힘 지지자 15.2%와 이념성향 진보 12.3%, 중도 15.5%, 보수층 15.0%가 긍정평가 이유라고 답했다.
부정 평가 이유는 '외교·안보', '경제·민생' 순
국정운영 부정 평가자는(1,210명) '외교·안보 정책'(22.1%), '경제·민생 정책'(18.5%), '전반적 정책 방향'(17.6%), '현안·사건 대응'(17.0%), '도덕성'(11.4%), '국민 소통'(9.5%) 순으로 이유를 들었다.
‘부정’ 이유로 1위인 '외교·안보 정책'이라는 응답은 지역에서 서울과 인천·경기가 각각 24.1%, 21.3%이고 △대전·세종·충청 24.2% △광주·전라 22.5% △대구·경북 26.3% △부산·울산·경남 17.0% △강원·제주 22.5%로 대구·경북이 가장 높고 부산·울산·경남이 가장 낮았다.
또 연령대에서 △20대 21.8% △30대 23.0% △40대 21.5% △50대 22.1% △60대 이상 22.4%가 응답했다. 또 민주당 지지자 24.0%와 이념성향 진보 24.1%, 중도 21.7%, 보수층 22.0%가 부정평가 이유라고 답했다.
2위 '경제·민생 정책'이라는 응답은 서울과 인천·경기가 각각 19.9%, 19.3%인 데 이어 △대전·세종·충청 16.3% △광주·전라 16.6% △대구·경북 18.6% △부산·울산·경남 17.5% △강원·제주 18.8% 등이었다.
또 연령대에서 △20대 15.0% △30대 23.8% △40대 16.9% △50대 17.9% △60대 이상 19.8%가 응답했는데 30대가 특히 높고 20대가 가장 낮았다. 또 민주당 지지자 17.9%와 이념성향 진보 17.6%, 중도 19.0%, 보수층 18.8%가 '경제·민생'이 부정평가 이유라고 답했다.
다음 '전반적 정책 방향'이라는 응답은 서울과 인천·경기가 각각 18.2%, 17.7%인 데 이어 △대전·세종·충청 20.2% △광주·전라 19.9% △대구·경북 12.1% △부산·울산·경남 17.3% △강원·제주 13.5% 등이었다.
또 연령대에서 △20대 15.9% △30대 14.6% △40대 21.1% △50대 19.8% △60대 이상 16.2%가 응답했다. 특히 40대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또 민주당 지지자 18.6%와 이념성향 진보 20.5%, 중도 16.6%, 보수층 12.3%가 부정평가 이유라고 답했다.
이어 '현안·사건 대응'이라는 응답은 서울과 인천·경기가 각각 16.9%, 16.7%인 데 이어 △대전·세종·충청 15.8% △광주·전라 14.2% △대구·경북 12.8% △부산·울산·경남 21.0% △강원·제주 26.0% 등이었다.
또 연령대에서 △20대 20.0% △30대 16.0% △40대 18.6% △50대 16.7% △60대 이상 13.7%가 응답했다. 또 민주당 지지자 16.2%와 이념성향 진보 14.8%, 중도 20.1%, 보수층 14.5%가 부정평가 이유라고 답했다. '현안·사건 대응' 응답은 특히 강원·제주와 20대, 중도층에서 두드러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일(토)부터 8일(월)까지 사흘간,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를 실시한 결과이며, 표본수는 2,003명(총 통화시도 67,489명, 응답률 3.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다. 또한 윤 대통령 긍정평가자(761명) 표본오차는 ±3.6%p이고, 부정평가자(1,210명) 표본오차는 ±2.8%p이다.
통계보정은 2023년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김상환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