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3년 4개월만에 일상 회복" 선언
의료계 "격리 의무·감염취약시설 관리 필요"

지난 3월 29일 한산한 모습의 서울 서대문구보건소 선별진료소. 연합뉴스
지난 3월 29일 한산한 모습의 서울 서대문구보건소 선별진료소.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가 3년 4개월간 이어졌던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극복을 선언했다. 코로나19를 이제부터는 엔데믹(풍토병화)에 맞게끔 대응하겠다는 의미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료계에서 확진자 격리 의무 권고 조정, 취약계층·취약시설 피해 등이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면서 “중대본에서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하고 6월부터 본격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하고 또 입국 후 PCR(유전자증폭) 검사 권고를 해제한다"며 "입원 병실이 있는 병원 이외 모든 장소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몇 차례 코로나 진료와 치료를 담당하는 병원에 다녀봤는데 정말 의료진들 고생이 너무 많았다. "이분들의 협업 덕분에 팬데믹을 극복할 수 있었다"며 “"3년 4개월 만에 국민께서 일상을 되찾으시게 돼서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엔데믹 선언’에 따라 지난 2020년 1월 20일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뒤 도입됐던 대부분의 방역 규제가 사라지게 됐다. 다만 코로나19와 관련된 검사, 치료비 지원은 경과 조치로서 당분간 유지하기로 했다.

코로나19가 종식된 상황도 아니다. 여전히 1주일에 10만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10일까지 최근 1달간만 239명이 코로나19로 생을 마감했다.

의료·방역 전문가들은 윤석열 대통령의 코로나19 엔데믹 선언에도 불구하고 후속조치가 이어져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감염 취약계층에 대한 관리에 신경 쓰면서 새로운 감염병에 대한 대비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노동자의 '아프면 쉴 권리'를 보호하고 의료계의 높은 피로도를 해소시킬 방안 마련도 요청하고 있다.

국내 방역 전문가로 꼽히는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지난 12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우리가 코로나19 엔데믹을 잘 준비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물음표가 한 10개쯤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가장 큰 변화가 법적 격리 7일을 5일로 권고로 바꾼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프면 쉰다'라는 게 잘 안 지켜지는 대표적인 국가"라며 "학교나 일반적인 직장에서는 (격리 의무가)지켜질 가능성이 높기는 하겠지만 지원을 못 받는 이들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취약한 노동계층들, 일용직 노동자 같은 경우에는 하루 쉬면 하루 일당이 없어지고 직장인들의 경우에도 직간접적인 압박으로 일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그러한 부분에 대한 준비는 거의 없다. 의료계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해결을 요청했지만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재갑 교수는 고위험군, 취약계층과 취약시설에 대비가 철저히 이뤄지지 않는다면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른 의료 전문가들도 의료기관과 감염취약시설 격리를 권고로 전환한 것에 대해 환자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이외의 장기적인 감염병 대책 마련도 요구되고 있다. 학계에서는 앞으로 또다른 감염병의 팬데믹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정권에 상관없이 정부가 감염병 대비를 소홀히 하면 또다시 코로나19 때와 같은 고통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감염병 주기를 살펴보면 2003년 사스(SARS) 유행 이후 신종 인플루엔자는 2009년, 메르스(MERS)는 2015년으로 6년 주기로 나타났다. 여기에 코로나19는 4년 뒤인 2019년 창궐했다.

이에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새로운 팬데믹을 대비하면서 신종 감염병 예방과 조기 감지 시스템을 강화하는 방안이 주목되고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앞으로 감염병 발생 주기는 점차 짧아질 것"이라며 ”감염병을 조기에 대응한다면 팬데믹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와 제도 손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