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내 재계 총수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수소 협의체인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H2 서밋)'이 14일 서울 용산구 하얏트호텔에서 2021년 발족 이후 2년 만에 두 번째 총회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허세홍 GS칼텍스 대표, 정기선 HD현대 사장,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 손영창 한화파워시스템홀딩스 대표이사 등 17개 주요 기업 경영진이 참석했다.
회원사들은 그간의 수소사업 및 협력 성과들을 공유하고 수소 정책 수립 시 산업계의 수렴된 의견을 정부에 전달했다. 앞으로 E-메탄올 협의체, 산업공정용 수소 활용 협의체, 운송용 수소 활용 협의체, 글로벌 수소 표준 및 인증 체계 수립 협의체 등 국내 수소 관련 협의체를 운영해 실질적인 협력 추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인사말에서 "현대차그룹은 수소사회 대전환을 지지하고 있고 그룹차원에서 2045년 탄소중립달성 사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 중"이라며 "수소전기차 개발과 더불어 여러 기업과 함께 수소사업에 공동투자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베코와는 유럽 청소차 시장을 주도하는 파운그룹과 계약을 체결해서 3년간 총 1100기의 수소전지를 공급할 예정"이라며 "올해부터 시작되는 액화수소 생산과 함께 액화수소충전소를 SK와 협력해서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H2광저우 수소연료전지 공장에서 6500기 공급 예정 ▲올해 북미에 수소트랙터 공개 ▲2025년 넥쏘 후속차 출시 ▲철강 주요 사업장인 울산, 당진 등을 중심으로 수소 물류트럭으로 전량 전환을 추진 ▲해외사업장서 완성차 신공장 건설 초기 단계부터 수소물류체계 구축 등의 계획을 밝혔다.
최재원 SK그룹 부회장은 "카본(Carbon, 탄소)을 없애는 에너지를 썼을 땐 전 세계적으로 수소는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원이라고 생각한다"며 "수요에 비추면 아직 인프라 측면이 떨어지며, 특히 국내에선 수소 충전소가 많이 필요하므로 조금 더 지원에 나서 수소 충전소 등을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블루수소(탄소 포집·저장 기술을 활용해 생산한 수소)는 가스를 개질해서 만드는 것으로 대부분 가스전과 협력하는 식의 기술 협력이 필요하다"며 "여러 기업과 국가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수소를 그룹 핵심 미래사업으로 두고 있으며 북미 등 그린수소 프로젝트 시행 중이고, 국내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 통해 청정수소 생산할 계획"이라며 "탄소중립을 위한 작은 제철소 위해 수소버스로 바꾸고 수소 충전소도 금년 내에 가동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선 국내에서도 청정수소를 생산할 수 있어야 하는데 원전과 청정수소 CCS 역량, 블루수소 생산이 그 방법이 될 수 있다"며 "이산화탄소 국가간 이동은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므로 수소 및 암모니아 파이프라인 구축 등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포스코그룹은 글로벌 수소 공급망 구축과 핵심 기술 개발 투자를 통해 2030년까지 50만t, 2050년까지 700만t의 수소 생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도 밝혔다.
조현상 효성그룹 부회장은 "2000년부터 CNG 충전사업, LNG 및 수소충전소 등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장 저변 확대에 노력해 왔고 국내에 가장 많은 수소충전소를 건설했다"며 "울산에 건설 중인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향후 이를 직영하는 액화수소 충전소도 전국에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효성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탄소섬유는 수소를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는 수소 모빌리티 분야의 핵심 소재로, 향후 수소차량 증가 등 시장 성장에 발맞춰 생산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2차 총회에서는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의 17개 회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한국 수소경제가 빠르게 발전해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 수소 생태계에는 여러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러한 과제를 빠른 시간에 해결하고 기업들의 수소산업에 대한 사업추진과 투자의지를 적극 지원할 수 있는 '글로벌 수소경제 선도를 위한 서밋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2030년 탄소배출 총 감축량의 10% 이상, 2050년 탄소배출 총 감축량의 25% 이상이 수소를 통해 달성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선언했으며 한국이 수소산업 강대국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회원사 간 다양한 비즈니스 협업 기회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 투자 및 국내외 협업 기회 창출을 지향하는 글로벌 수소 협력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에 뜻을 함께 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