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가 직매입 정책에 CJ·LG와 분쟁
가격결정권 확보로 연간 흑자전환 목표

김범석 쿠팡 창업자. 쿠팡 제공
김범석 쿠팡 창업자. 쿠팡 제공

쿠팡이 이커머스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단순한 시장 점유율 확보에서 나아가 제조업체와 납품가 갈등을 빚을 정도로 갈등과 분쟁을 피하지 않는 모습이다. 납품 상품의 가격결정권을 쿠팡이 쥐면서 흑자경영 기조를 이어가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지난 11일 배포된 쿠팡의 언론 보도자료는 유통업계를 뒤흔들었다. 쿠팡은 CJ제일제당의 제품을 직매입해 팔지 않아도 자사는 손해 볼 것 없다는 취지의 보도자료를 냈다. 구체적으로 올해 1~5월 즉석밥과 즉석국, 냉동만두 등의 판매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중소·중견기업들의 제품 판매량이 많게는 100배 이상 늘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또 CJ제일제당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대기업이 빠진 자리를 중소·중견기업이 대신 채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게다가 독과점 대기업을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독과적 행위가 소비자 편익 증가를 가로막고 있다는 부정적인 어조를 담아냈다.

이는 쿠팡이 지난해말부터 CJ제일제당과 납품단가 협상에서 반년 넘게 이견을 빚으며 갈등 중인 상황에서 나타났다. 양사의 갈등으로 인해 CJ제일제당의 햇반과 비비고 제품을 로켓배송을 통해 구입할 수 없고 오픈마켓 판매자 상품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양사의 갈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지만 기업 간 갈등을 언론을 통해 폭발시켰다는 점에서 유통가가 주목했다.

게다가 CJ제일제당 제품을 애용하는 소비자가 많다는 점에서 쿠팡 입장에서 CJ제일제당은 중요한 기업고객인 상황이다. 쿠팡도 CJ제일제당의 제품이 빠지게 되면 그만큼 수익에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쿠팡은 CJ제일제당 제품이 빠진 자리를 중견·중소 제품이 메꿔나갈 수 있다고 자신했다.

과거에도 쿠팡은 LG생활건강과도 비슷한 분쟁을 빚었다. LG생활건강은 쿠팡에 세제와 샴푸, 기저귀 등 생활용품과 코카콜라 등 음료를 쿠팡에 납품했다. 그러다 쿠팡이 요구한 판매 단가 인하를 수용하지 않았고 거래 관계는 종료됐다.

반면 쿠팡은 LG생활건강이 쿠팡 이외의 타 유통채널에는 저렴한 가격으로 납품하면서 쿠팡 등에는 비싼 가격으로 납품하면서 새로운 유통채널을 견제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를 두고 공정거래위원회는 쿠팡이 거래상 지위를 이용해 LG생활건강에게 부당한 요구를 했다고 판단해 쿠팡에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후로도 쿠팡은 LG생활건강 제품을 직매입하지 않고 있다.

창업자인 김범석 의장이 초기에 쿠팡을 서비스할 때만 하더라도 이렇듯 제조업체와의 갈등은 생각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인해 이커머스가 급속도로 성장해오면서 쿠팡은 오프라인 유통업계와도 맞먹을 수 있는 업체로 성장했다.

쿠팡의 위상이 과거와는 달라진 만큼 이전과는 가격 결정권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게 됐다.

지난해 이커머스 시장에서 쿠팡의 점유율은 24%에 달한다. 로켓배송 도입 8년 만인 지난해 3분기 처음으로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했다. 3분기에 이어 4분기까지 2분기 연속 영업이익을 냈다. 흑자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로켓배송이 강화돼야 한다. 로켓배송 강화를 위해서는 직매입 확대를 필요하다는 점에서 제조사들과 협상에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 상황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쿠팡이 이미 2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하면서 연간 흑자 전환에도 청신호가 켜진 만큼 김범석 의장을 비롯한 임원진들이 더욱 노력하는 모습”이라며 “이 가운데 납품가 인하 요구 등 입점업체들과 갈등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CJ제일제당이 대표적인 사례이지만 앞으로도 비슷한 사례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