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당 3억원이 넘는 초고가 승용차가 국내에서 6000대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한국 시장 성장세에 주목하며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으로 취득가액이 3억원을 넘는 승용차 누적 등록 대수는 6299대에 달했다.
취득가액 3억~5억원 승용차는 개인(1213대)과 법인(3793대)차량을 합쳐 5006대, 5억원 초과 차량은 총 1293대(개인 361대·법인 920대·단체 12대)였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3억원 이상 승용차는 롤스로이스, 벤틀리, 페라리, 람보르기니, 메르세데스-마이바흐 등 해외 유명 브랜드의 슈퍼카·럭셔리카 모델들이다. 국산차 중에는 3억원이 넘는 승용차가 없기 때문이다.
연도별 신규등록 현황에 따르면 3억원 이상 고가 승용차 등록 증가세도 뚜렷하다.
지난 2016년 취득가액 3억~5억원 승용차 신규등록 건수는 199건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115건으로 6년 새 5.6배로 뛰었다. 5억원 초과 승용차 역시 같은 기간 25건에서 267건으로 약 10배가 됐다.
올해 4월까지도 3억~5억원 차량은 전년 동기 대비 237건에서 323건으로, 5억원 초과는 71건에서 77건으로 각각 증가했다.
신규 등록 건수는 특정 연도에 말소된 차량이 다른 해에 다시 등록되는 등 사례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어 총등록 대수와 일치하지는 않긴 하지만 이번 지표는 국내에서 고가 수입차 시장이 커지는 추세를 고려하면 비슷한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초고가 승용차의 법인 소유 비중이 눈에 띄게 크다. 최근 정부는 슈퍼카 등을 회사 명의로 구입해 개인 용도로 쓴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법인차 전용 번호판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최고급 차량을 제조하는 글로벌 업체들은 한국 시장의 성장 추세에 주목하고 있다.
벤틀리는 지난 3월 애드리안 홀마크 회장 등 본사 최고경영진이 한국을 방문해 국내 벤틀리 판매량 증가에 주목하며 신흥 시장으로서 중요도를 강조한 바 있다
지난해 벤틀리의 한국 내 판매량은 775대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판매 1위를 달성했는데, 당시 아태지역 총판매량 2031대의 약 38%를 한국이 차지했다.
롤스로이스 역시 지난해 한국수입차협회 집계로 234대를 한국에서 판매하며 역대 최다 판매량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 3월 토스텐 뮐러 오트보쉬 롤스로이스 최고경영자(CEO)가 방한, 당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롤스로이스가 추구하는 정신에 대한 이해가 빠르고 성장도 빨라 우리에겐 매우 중요하다"며 한국 시장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밖에 페라리는 자사 차량의 역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우니베르소 페라리' 전시를 지난달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 개최했으며, 슈퍼카 브랜드 애스턴마틴도 최근 딜러사가 아닌 회사가 직접 나서 국내에서 첫 신차 출시 행사를 개최하는 등 글로벌 고급차 업체들이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태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