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거시경제 무관 이익 내며 성장하는 종목 주목
채권, 듀레이션 신용 위험 반대로…분산하는 바벨전략 유효
상반기 주식시장에 상위 몇 개 종목 쏠림 현상이 있었던 만큼 상대적으로 소외됐으나 성장성과 이익시현이 가능한 종목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채권투자의 경우 듀레이션(이자율) 위험과 신용위험에 균형을 둔 ‘바벨전략’이 유효하다는 전문가 제언이다.
26일 오전,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을 하루 앞두고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AB(얼라이언스번스타인)가 하반기 글로벌 주식 및 채권시장에 대한 전망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연사로는 채권부문 선임 매니저 ‘유재흥 파트장’과 주식부문 선임 매니저 ‘이재욱 부장’이 나서 하반기 글로벌 시장을 전망했다.
유재흥 파트장은 “성장률과 물가 둔화시 내년 상반기 중 통화정책 전환을 기대한다”며, “이는 채권금리의 하락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제는 물가가 안정화되는데 여전히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라며,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최근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2% 보다 높고 근원CPI는 더 더디게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장기적으론 물가 압력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생산자 물가는 선행지표기 때문에 소비자 물가도 따라서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첨언했다.
그러면서 “금리 인상기조 마무리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국채 금리는 하락하며 장단기 수익률 곡선 역전 상황은 완화될 것”이라며, “초장기 국채 일변도의 투자를 할 필요성은 없다”고 말했다.
유 파트장은 현재 미국 중기 국채 수익률이 4% 수준으로 투자자 입장에서는 그닥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지만 투자등급 회사채를 섞거나 투자등급 회사채 만으로 포트폴리오 짜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시각도 전했다. 그 근거로 투자등급 또는 하이일드 채권의 펀더멘털 개선이 많이 이뤄져 펀더멘털 출발점이 과거 대비 나쁘지 않다는 설명이다.
특히 채권은 신용위험을 듀레이션적 성격으로(만기보유전략 등) 위험을 상당부분 상쇄할 수 있는 만큼 부정적 이벤트 발생시에도 상당부분 리스크 헷지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유 파트장은 평소 국채처럼 금리 민감도 높은 자산과 성장에 민감한 크레디트 자산을 묶어 포트폴리오로 구성하는 ‘신용 바벨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더불어 유 파트장은 만기 도래 CCC등급 채권 비중이 2% 미만으로 낮은 만큼 하이일드 채권 투자도 고려할 것을 당부했다. 하이일드채권 및 론의 부도율은 향후 한 1년 반 뒤까지는 3%대 정도로 높아질 수 있지만 이 수치는 금융위기때 10% 초중반까지 올라갔던 것에 비하면 미미하다는 평가다.
신용바벨전략에 입각해 최근 개인투자자들이 금리 고점 상황에 대한 인식으로 듀레이션 일변도의 장기채에 쏠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채권 시장 전망에 이어 이재욱 부장이 주식부문 글로벌전망을 이어갔다.
이 부장은 “연초 우려와 달리 대부분 글로벌 시장이 상승했는데 특히 시가총액 26%에 상당하는 상위 10개 종목에 몰렸고, 이들이 시장 수익률 상승의 약 79%를 담당해 쏠림 현상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하지만 역사적으로 소수 종목 집중 현상은 오래가지 않았는데, 현재 미국 기업의 이익전망은 내려가는 반면 주가는 높은 수준이라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 그간 주가 상승에서 소외됐던 장기 성장성이 살아있고, 이익 시현이 꾸준하며 주가가 오르지 않았던 종목에 주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지역적으로는 우량 성장기회가 여전히 미국에 있지만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상기후 등 지속가능성 테마를 고려하라”고 조언했다.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 국면에서 거시경제 흐름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테마를 가진 업종과 그 핵심 기업에 투자해야한다는 시각이다.
특히 과거 EPS(주당수익률) 둔화 상황에서 잉여현금흐름(FCF)나 총자산수익률(ROA)이 좋았던 기업이 성과가 좋았음을 염두에 두고 이러한 기업을 찾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부장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생성형 AI 관련해 향후 파괴적 혁신의 중심이 될 가능성이 있고, 기술업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업종에 광범위한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도 “아직 초기 단계고 우위를 점할 기업 판별이 끝나지 않았으며, 파괴적 혁신 관련해 모든 기업이 승자가 되진 않을 것이기 때문에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