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평화재단, 몽골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 달간 특별전시

“제주4·3 몽골에 알린다”(사진=제주자치도 4·3평화재단)
“제주4·3 몽골에 알린다”(사진=제주자치도 4·3평화재단)

제주4·3평화재단(이사장 고희범)은 9월 10일부터 몽골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 달 동안 '대한민국의 역사, 제주4·3'을 주제로 특별전시를 열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올해 4월 4·3평화공원에서 몽골의 사회주의정권 하에서 벌어진 정치적 억압(대숙청)을 다룬 '몽골 대숙청 특별전시회'를 열고, 제주4·3평화재단과 MOU를 맺으며 교류협력의 물꼬를 튼 몽골 국가회복관리위원회(위원장 살단 오돈투야, 몽골 국회부의장) 초청에 의해 이루어졌다. 오돈투야 위원장 일행은 지난 75주년 4·3추념식에 참가해 희생자들을 추모하기도 했다.

전시 개막식은 지난 9월 10일 오후 오돈투야 위원장을 비롯한 몽골 관계자 및 고희범 이사장, 김창범 4·3유족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몽골 국립박물관에서 개최했다. 다음달 10월 10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시에는 20여점의 패널과 동영상 사진을 통해 4·3의 진실과 명예회복 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날 개막식에서 오돈투야 위원장은 “우리 위원회가 초청한 최초의 외국 전시인데, 훌륭한 전시를 기획해주셔서 감동적”이라며, “4·3은 한국 과거사 해결의 모범으로서, 이번 전시는 몽골 대숙청 피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기념공원 조성 등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 함께한 고희범 이사장은 “이번 전시를 계기로 4·3을 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4·3과 매우 유사한 아픔을 간직한 몽골과의 교류와 협력 그리고 연대를 이어갈 것”이라며 “4·3의 남은 과제 중 하나가 미국의 책임규명과 사과이듯, 구 소련의 영향력 아래 자행된 몽골 대숙청의 진상규명과 실질적 배후인 러시아의 사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몽골 국가회복관리위원회는 몽골의 공산화 및 민주화 과도기인 1921~1990년 사이에 국가폭력으로 민간인들이 대규모로 희생된 ‘대숙청사건’을 조사·보상·교육하기 위해 1990년 12월 몽골의 대통령령으로 설립됐다. 하지만 과거사 해결에 적극적이지 않은 몽골의 정치상황에 의해 진실규명과 기념관 조성 등이 현재까지 난항을 겪고 있다.

[제주= 차정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