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당일인 29일 서울광장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열린 희생자 추모 합동 차례에서 참석자들이 이태원참사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추석 당일인 29일 서울광장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열린 희생자 추모 합동 차례에서 참석자들이 이태원참사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추석 당일인 29일 서울 도심에서 이태원과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합동 차례가 각각 열렸다.

이날 오후 3시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유가협)와 시민대책회의는 서울광장 분향소에서 참사 후 첫 추석을 맞아 합동 차례를 지냈다.

희생자들의 영정사진이 놓인 분향소 앞에는 사과·배·귤·수박·바나나 등 과일, 약밥과 떡이 놓인 차례상이 차려졌다.

행사에는 유가족, 종교인, 시민 등 100여 명이 모여 희생자를 기렸으며 ▲이태원특별법 즉각 제정 ▲대통령 공식 사과 ▲행정안전부 장관 사퇴를 요구하는 구호를 외쳤다.

이정민 유가협 운영위원장은 "설날 이후 명절을 길에서 맞이하는 일은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또 길에서 맞이하게 됐다"고 참사 후 두 번째 명절을 맞는 심중을 밝혔다.

그러면서 "1년 동안 애써서 잘 싸워왔기에 아이들도 뿌듯해할 것"이라며 "한 걸음씩 아이들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결과를 이뤄내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또 "용기 잃지 마시고 아이들이 오늘 외롭지 않게, 쓸쓸하지 않게, 다 같이 기쁜 마음으로 맞이해주면 좋겠다"고 전했다.

불교, 원불교, 기독교, 천주교 단체는 차례로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기도를 올렸고 유족들은 묵념한 뒤 영정사진 앞에서 추모의 시간을 가졌다. 이어 유가족은 분향소를 찾은 시민과 차례상 음식을 나눴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가협)와 4·16연대도 이날 오후 4시 16분 서울시의회 앞 세월호 기억공간에서 합동 차례를 열었다.

유가족과 시민 30여 명이 자리했으며 차례상에는 곶감·약과·대추·배·사과·수박·피자 등 각종 음식과 소주·맥주·콜라 등 주류·음료가 올랐다.

김종기 가협 운영위원장은 "아이들이 별이 되고 나서 10번째 맞이하는 추석"이라며 몇 백미터 떨어진 곳에는 이태원 유가족이 있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이어 "우리는 기억하고 행동하고 함께해서 국민이 죽지 않고 안전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보자고 모인 것"이라며 세월호·이태원 참사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강조했다.

또 이날 오전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국민동의청원에 5만명 넘게 동참했다는 사실을 밝히며 "법이 제정돼야 오늘의 국민이 내일의 희생자·유가족이 되지 않는 안전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