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품 대금 지급 촉구하는 위니아 협력사. 연합뉴스
납품 대금 지급 촉구하는 위니아 협력사. 연합뉴스

위니아(옛 위니아딤채)를 비롯한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들이 줄줄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만기어음을 받지 못하는 협력사들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위니아의 협력업체가 몰려 있는 광주 지역에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법정관리란 부도나 파산위기에 처한 기업에 대해 법원에서 지정한 제3자가 자금 등 기업활동 전반을 관리하는 것을 뜻한다. 부도 위기에 처한 기업을 파산 대신 회생하기 위한 절차다.

12일 광주시와 광주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차례로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위니아전자(옛 위니아대우), 위탁생산업체 위니아전자매뉴팩처링, 통신장비 업체 대유플러스, 위니아 등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는 모두 광주 광산구에 본사나 공장을 두고 있다.

광주에만 위니아전자와 위니아전자 매뉴팩처링 61개, 위니아 32개 등 협력업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룹 계열사들의 광주 협력업체는 모두 150여개에 달할 것으로 광주시는 추산했다.

위니아전자는 지난해 7월부터 근로자 412명의 임금과 퇴직금 302억원을 체불하는 등 계열사마다 체불임금 또는 협력업체 납품 대금 미지급액이 수백억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업체들은 납품 중단에 따른 매출 감소를 비롯해 당장 납품한 대금조차 회수하기 어려워졌다.

협력 업체들은 최근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어음 결제를 포함해 총 1000억원이 넘는 납품 대금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금융권, 정부, 지자체의 긴급 금융 지원을 요청했다.

지역 협력업체들은 만기일이 다가오는 할인 전자어음을 대출로 전환해 줄 것을 금융권에 최우선으로 요청했다.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에 보증과 융자금 만기 연장도 건의했다.

광주시는 정확한 피해 현황 파악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 그룹사별 협력업체와 지급액에 대한 공식자료를 요청하고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지정도 검토해 줄 것을 건의하기로 했다. 또 법원에 지역 경제를 고려해 기업에 회생의 기회를 달라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한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오는 17일 국감에서 박영우 대유위니아그룹 회장을 증인으로 불러 대규모 체불 임금 등에 대해 질의하기로 했다. 여기서 박 회장이 어떠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