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주 의원 “출연연 장애인 의무 고용 분담금 5년새 237억원에 달해...부처간 협력으로 장애인 인재 채용 노력해야”

박완주 국회의원(무소속, 충남 천안시을)
박완주 국회의원(무소속, 충남 천안시을)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박완주 의원이 25개 출연연구기관에서 장애인 의무 고용비율을 채우지 못해 최근 5년새 고용부담금을 납부한 금액만 237억원에 달한다고 23일 지적했다.

25개 출연연구기관의의 장애인 의무 고용률은 5년 전체 평균 3.4%에 도달해야 하나 전체 2%에 그쳤으며 핵융합연(3.5%)을 제외하고 단 한 곳도 지키지 못했다. 또한 지난 한 해의 경우 연구원별로 3.6%의 장애인을 의무 고용해야 하지만 국가보안기술연구소(0.73%), 세계김치연구소(1.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1.36%) 등 출연연 25곳 중 의무 고용률을 지키지 않은 곳은18곳(72%)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 등 공공기관의 장은 장애인을 의무 고용해야 한다. 의무 고용 비율은 ’18년 3.2%에서 현재는 3.6%까지 올랐다. 매년 일정 비율 이상 장애인을 고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미준수 시 부담금을 부과하게 돼있다.

박완주 의원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로부터 제출받은 ‘25개 출연연 장애인 고용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25개 출연연에 장애인 의무 고용으로 할당된 인원은 전체 3730명 규모였지만 실 고용은 2214(59%)명뿐이고 1516(41%)명의 절반 가까운 인원이 미달됐다. 이에 따른 25개 출연연이 납부한 부담금만 총237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5년 기준 분담금 납부 상위 20%를 살펴보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7억 원을 납부해 25개 출연연 중 1위를 자치했고 이어 한국생산기술연구원(26억 원), KIST(18억 6000만 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18억 2000만 원), 한국원자력연구원(17억 원) 순인 것으로 드러났다.

출연연 관계자들은 직무 능력에 부합한 지원자가 부족하다는 입장만 내세우고 장애인 의무 고용 문제의 해결책을 부담금 납부로 떼우기만 할 뿐 다부처 간 협력 등으로 장애인 인재 풀을 확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해 보인다.

한편, 현재 장애인 의무 고용에 대한전체 비중만 정해져 있을 뿐 직군 선발 비중은 정해져 있지 않다. 5년간 전체 2214명 중 행정직 채용은 1405명으로 채용 인원 전체의 63.5%를 차지하나 연구직은 809명으로 36.5%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장애인 의무 고용 직군의 불균형에 대한 문제점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은 “공공기관이 장애인 고용 의무를 다하지 않고 매년 부담금으로 대체하는 방법은 적절하지 않은 처사”라며 “장애인 의무 고용 이행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이행되고 있는 약속인 만큼 세밀한 문제 진단과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또한, “출연연 기관 특성상 장애인 의무 고용 이행의 어려운 부분은 이해하지만, 인원수 채우기에 급급할 뿐 출연연 특성에 적합한 연구직 채용 확대를 위한 움직임에는 절실함이 없어 보인다”며 “다부처 간 협력을 통한 장애인 과학 인력 풀을 확대해 나가기 위한 TF를 구상하는 등 협력 체계를 갖추는 데도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