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사가 31일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5월 24일 상견례 후 이달 5일까지 총 24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노사간 입장 차이가 지속됐다. 이에 노조는 교섭 결렬 선언을 하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신청과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왔다.
특히 지난 29일 포스코 노조가 쟁의행위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 77.79%로 가결되면서 파업 위기가 높아졌었다. 포스코 노조의 쟁의행위가 가결된 것은 창사 55년 만에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면서 첫 파업 위기를 넘기게 됐다. 향후 잠정합의안 수용 여부를 묻는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과반수가 찬성하면 포스코 노사는 올해 임단협 교섭을 최종 타결하게 된다.
올해 교섭은 직원 뿐만 아니라 고객사, 협력사, 지역사회 등의 관심과 우려 속에서 진행됐는데 노사가 함께 원만한 교섭 타결을 위해 지속 노력한 결과 이번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고 포스코는 설명했다.
합의안의 주요내용은 ▲기본임금 10만원 인상(자연상승분 포함 17만원 수준) ▲주식 400만원 지급 ▲일시금(비상경영 동참 격려금) 250만원 ▲지역상품권 50만원 ▲격주 4일 근무제도 도입 ▲경영성과금제도/직무급제 도입/복리후생 재설계 등을 위한 TF(태스크포스)구성 등이며 이번 잠정합의안은 전년도 수준을 상회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어려운 회사 여건에도 불구하고 임단협 교섭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예년 대비 높은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며 "잠정합의안 조합원 투표 절차까지 원만하게 마무리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