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관련 학과 학생도 학업 포기 잇따라
안민석 의원 “R&D 예산삭감은 무능의 극치”

안민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도 오산시)
안민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도 오산시)

정부의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등으로 이공계 인재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1일 공개한 ‘공학계열 석·박사 과정 중도 탈락 현황’에 따르면 2018년부터 5년간 1만 6000여 명의 학생이 학업을 포기했으며 다수 대학이 기술·공학 관련 대학원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 특성화 대학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등 4대 과학기술원의 일반대학원 석사 충원율은 각각 76.5%, 62.9%, 80.6%, 76.6%에 그쳤다.

취업에 용이한 반도체 관련 학과도 중도 탈락이 점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2022년 전국 31개 대학의 57개 반도체 관련학과에서 지난해 중도 탈락한 학생 비율은 평균 8.1%로 2020~2021년(4.9%)의 1.7배로 늘었다.

내년 국가 R&D예산 삭감이 현실화되면 연구 현장의 불안이 더 커져 이공계 인재 유출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안 의원은 지적했다.

안 의원은 “국가 발전 동력인 R&D예산이 대폭 줄어 교육‧연구현장이 뿌리째 흔들리는데 정부와 여당은 제대로된 삭감 이유도, 책임있는 대안도 내놓지 않고 있다”면서 “R&D 예산 삭감은 무능의 극치이며, 무능한 정부가 국가의 미래마저 망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