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콘퍼런스 'UDC 2023' 열려
각국 가상자산·규제·정책 등 현안 논의

두나무 송치형 회장이 13일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업비트 D 콘퍼런스'에서 웰컴 스피치를 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
두나무 송치형 회장이 13일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업비트 D 콘퍼런스'에서 웰컴 스피치를 하고 있다. 두나무 제공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가 개최하는 블록체인 콘퍼런스 '업비트 D 콘퍼런스(UDC2023)'가 13일 열렸다. 지금까지 열린 UDC가 개발자와 기술 중심의 행사로 이뤄졌다면 올해부터는 정책, 금융, 문화, 사회 등 전반 분야로 확장돼 관심을 모았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이날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 "블록체인이 점차 경제와 문화, 사회 전반적으로 영향력이 확장하면서 '업비트 D 콘퍼런스'도 블록체인의 모든 것을 담을 수 있는 종합 콘퍼런스로 재탄생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두나무가 2018년 이후 매해 개최하고 있는 UDC는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사명감을 가지고 진행하고 있는 행사"라며 "블록체인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UDC도 계속 성장, 사회 현황에 따라 개최 형태도 변하고 주요 토픽과 참가 대상도 점차 기술 중심에서 다양한 주제로 발전하면서 대중적으로 확장돼 왔다"고 설명했다.

UDC 2023은 트렌드, 정책·규제, 금융·비즈니스, 콘텐츠·문화, 산업·기술 등 키워드별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29개국 블록체인 전문가 39명이 발표자로 참여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동시로 운영돼 보다 많은 참가자가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지식과 비전을 나눌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 솔라나 재단의 매트 소그 기술책임자는 인공지능(AI)이 블록체인 산업에 미친 영향을 공유했다. 소그 책임자는 "블록체인을 통해 콘텐츠가 생성된 위치정보와 블록체인 상에 이미지 기록을 통해 이미지의 변조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아바랩스의 우스만 아심 수석 데브렐 엔지니어는 한국의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을 전망했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벗어나 중앙화되지 않은 탈중앙화 금융에 대한 이야기도 나왔다. 최근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을 활용한 금융사업인 '디파이'와 관련돼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이 외에 가상자산과 블록체인 시장의 규제와 정책에 대한 국가별 시각과 현안이 다뤄졌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