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이마트

이마트가 올해 3분기에 할인점 부문의 경쟁력을 회복하는 성과를 냈다. 다만 자회사 실적은 여전히 부진해 연결 기준 실적이 전년 동기(2022년 3분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는 14일 공시를 통해 지난 3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5% 증가한 110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별도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4조 4386억원이다. 이마트 별도 영업이익이 성장세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만이다.

이마트는 물가 안정 기여 연중 프로젝트 '더 리미티드' 등 상품 기획과 점포 리뉴얼, 수익성 개선 노력에 따른 비용 효율화 등으로 본업의 경쟁력이 강화됐다고 설명했다.

노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전문점은 수익성 위주의 사업구조를 재편하면서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점은 3분기 94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고 고객수가 전 분기 대비 5.8% 늘면서 추가 성장의 발판을 만들었다. 

다만 신세계건설의 실적 부진 등으로 연결 기준 실적은 개선되지 못했다.

이마트의 연결 기준 3분기 순매출액은 7조 7096억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22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2.6% 감소한 779억원이다.

이마트는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원가 부담 증가로 인해 신세계건설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51억원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G마켓은 지속적인 수익성 강화 작업이 효과를 거두며 3분기 영업손실이 지난해 대비 48억 줄어든 101억원을 기록해 4분기 손익분기점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조선호텔앤리조트와 신세계프라퍼티는 코로나19 엔데믹 영향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조선호텔앤리조트의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보다 17억 늘어난 149억원, 신세계프라퍼티는 84억원 늘어난 106억원이다.

이 외 스타벅스가 지난해보다 232억 늘어난 498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고 신세계푸드는 전년대비 35억원 증가한 78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이마트는 앞으로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해 신규 출점과 리뉴얼 등을 통한 외형 성장을 도모하면서 수익성 강화에도 집중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이마트·이마트24·이마트에브리데이 등 3사의 기능을 통합해 매입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오프라인 3사 원(One)대표 체제'의 시너지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실제로 한채양 이마트 신임 대표가 부임하면서 이마트를 비롯해 이마트에브리데이, 이마트24 대표직까지 겸임하고 있다.

또 G마켓은 고수익 상품 판매, 물류 효율화 등 적자폭 감소에 효과를 거두고 있는 수익성 개선 작업에 집중한다. SSG닷컴은 성장과 수익의 균형을 이루는 '균형성장'(Balanced Growth) 전략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한편 이마트는 4분기엔 쓱데이와 개점 30주년 기념행사 등 연말 대형 행사가 이어져 실적 개선을 기대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