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5대은행 가계대출 전월 대비 2.1조원 감소…11개월 만에↓
풍선효과에 기업대출 지속 증가…올 들어 17조원 이상 늘어
높은 금리에 부동산 거래 부진까지 이어지자 5대은행 가계대출이 11개월 만에 전월 대비 줄어 이대로 가면 국내총생산(GDP)보다 가계대출이 더 많아질 가능성이 대두된다. 다만 당국의 가계대출 축소 노력에 은행들이 기업대출에 집중하고, 기업 경영 환경은 악화되면서 기업대출은 올해만 17조원 이상 늘어 우려를 낳고 있다. 3월에만 약 8조원 증가다.
31일 연합뉴스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8일 현재 693조6834억원으로, 2월 말(695조7922억원) 대비 약 2조1088억원 적다.
특히 다섯 곳 중 4곳 은행의 가계대출은 1916~9738억원까지 줄어들었고, 신한은행만 3550억원 늘었다. 월말까지 남은 3일동안 이 추세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2023년 4월(-3조2971억원) 이후 11개우얼 만의 월 단위 감소가 예상된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잔액 536조307억원)이 열한 달 만에 처음으로 1조657억원 줄었고, 신용대출(잔액 103조497억원)은 6354억원 줄며 2023년10월(+6015억원)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러한 가계대출 성장 감소는 최근 2년 반 가까이 이어진 긴축정책에 따른 고금리 기조와 이로 인한 부동산 거래 부진이 더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지난 14일 국회에 보고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는 당분간 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그 근거로 고금리, 부동산 시장 회복 지연,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비롯한 대출 규제 등을 들었다.
그 결과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보다 많은 상황이 역전될 수 있을 것으로 한은은 보고 있다.
5대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해 말(잔액 692조4094억원) 대비 올 들어 3월 28일까지 0.18%(1조2740억원) 증가에 그쳤다.
한은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가 2.1%임을 감안할 때, 1분기부터 경제 성장률이 가계대출 증가율을 상당 폭 웃돌며 시작했을 가능성이 크다.
앞서 발표된 비(非)은행권까지 포함한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이미 2월(-1조8000억원)부터 줄기 시작했다. 이런 숫자들을 고려할 때 GDP가 가계신용대출 잔액을 넘어설 거라는 예상이 나온다.
당국의 가계대출 안정화 지도에 대출을 통해 수익을 내야하는 은행들의 금리 관리도 분주하다.
5대 은행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2% 안팎에서 묶겠다고 금융당국에 보고한 바 있지만, 보고된 범위 내에서 최대한 수익을 내기 위해 금리를 수시 조정하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가계대출이 0.8% 이상 줄어든 NH농협은행은 지난 18일 우대금리를 늘리는 방식으로 신용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금리를 0.1∼0.5%p 낮췄다. 증가율이 0.4% 정도인 KB국민은행은 지난달 7일 대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23%p 올린 반면, 이달 12일 신용대출 금리는 오히려 0.6%p 하향 조정했다.
대환대출 수혜 등으로 가계대출이 1% 넘게 불어난 신한은행은 다음 달 1일부터 우대금리 폭 조정을 통해 일제히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상품별로 0.04∼0.30%p 인상한다는 입장이다.
가계대출에서 수익이 줄어드는 것을 두고볼 수 없는 은행들은 기업금융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업들의 운영자금 대출 수요가 여전히 많을 뿐 아니라, 은행들도 가계대출 성장 부진을 상쇄하는 차원에서 기업 대출 영업을 강화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지난 28일 현재 5대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모두 784조4562억원으로, 2월 말(767조7107억원)보다 7조7455억원 또 늘었다. 작년 말(767조3139억원)과 비교하면 올해 들어서만 3개월 사이 17조1423억원(2.2%) 증가했다.
중소기업 대출이 7조8345억원(작년 말 630조8855억원→638조7200억원), 대기업 대출도 9조3078억원(136조4284억원→145조7362억원) 불었다.
한은은 지난 28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가계신용은 주택거래 위축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둔화했지만, 기업 신용은 증가세가 지속됐다"며 "기업부채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