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정부가 양보해야" 28%, "양쪽 모두 양보" 26%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정부 양보" 응답률 높아

의대정원 2000명 증원 문제를 둘러싸고 의정 갈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보다 의료계가 양보해야 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3~1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13명을 대상으로 ‘정부와 의료계 중 어느 쪽의 양보가 더 필요한지’ 물었더니 '의료계 양보' 43.6%, '정부 양보' 28.3%로 집계됐다. 또 '양쪽 모두 양보' 응답률도 26.2%로 무게감 있게 나타났다.  @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3~1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13명을 대상으로 ‘정부와 의료계 중 어느 쪽의 양보가 더 필요한지’ 물었더니 '의료계 양보' 43.6%, '정부 양보' 28.3%로 집계됐다. 또 '양쪽 모두 양보' 응답률도 26.2%로 무게감 있게 나타났다.  @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3~15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13명을 대상으로 ‘정부와 의료계 중 어느 쪽의 양보가 더 필요한지’ 물었더니 '의료계 양보' 43.6%, '정부 양보' 28.3%로 집계됐다. 또 '양쪽 모두 양보' 응답률도 26.2%로 무게감 있게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모든 권역에서 ‘의료계 양보’가 ‘정부 양보’보다 더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세부 지역별로는 ‘전남’이 유일하게 ‘정부 양보’(38.8%)가 ‘의료계 양보’(32.6%)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어 ▲울산(36.1%) ▲전북(34.0%) ▲경남(33.8%) ▲광주(33.8%)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정부 양보’ 응답률이 나왔다.

연령대별로는 역시 전 연령대에서 ‘의료계 양보’ 의견이 많았으나, 상대적으로 4050에서 정부 양보론이 높게 나타났다. ‘정부 양보’ 응답률은 ▲40대(33.3%) ▲50대(32.3%) ▲60대(30.8%) ▲20대 이하(27.4%) ▲70대 이상(22.0%) ▲30대(20.9%) 순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녹색정의당 지지층은 '정부 양보' 응답률이 '의료계 양보' 응답률보다 훨씬 높게 나왔고,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지지층은 '의료계 양보' 응답률이 절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새로운미래 지지층은 '의료계 양보' 응답률이 높지만 '정부 양보' 응답률도 만만치 않게 나왔다.

결과적으로 진영과 이념 성향에 따라 '정부 양보'와 '의료계 양보' 의견이 갈린 셈이다. 중도층은 '의료계 양보' 53.4%, '정부 양보' 38.0%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를 진행한 조원씨앤아이 관계자는 “정치 성향에 있어 진보가 강세인 4050세대에서 정부 양보 의견이 높게 나왔다”며 “어린 자녀가 있어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를 크게 절감하는 30대가 전 연령대에서 가장 낮은 정부 양보 입장을 보인 것도 눈에 띈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 주도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은 16일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해 의료계와 정부, 여야 정당,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4자 협의체 구성을 촉구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윤석열 대통령은 제1야당 대표와 영수회담을 조속히 개최해 의료공백·의정 갈등 해결을 위한 4자 협의체 구성을 합의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밀실에서 진행된 야합의 방식이 아니라, 공론화된 사회적 협의체 구성을 통해 2025년 의대 증원 규모를 국민의 눈높이에서 조속히 확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를 실시한 결과이며, 표본수는 2013명, 응답률은 2.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다. 통계보정은 2024년 3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