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기 ‘나쁨’, 부·울·경(39.3%), 광주·전라(39.2%) 등 높아
가장(家長) 부담 큰 4050 체감경기↓..국정평가와 체감도 비례

지난 1분기 국내 총생산이 당초 예상(전분기 대비 0.6% 상승)을 훌쩍 뛰어넘어 1.3% 증가하고 개인카드 사용실적이 지난해 1분기 대비 4.8% 늘어나는 등 생산과 소비가 바닥을 찍고 소비가 살아난다는 통계가 나왔지만 국민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그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에 따른 가처분 소득 감소와 고공행진중인 생활물가 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4월27~29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06명을 대상으로 현재 각 가정의 경제 상황과 생활 형편 등 ‘가계경제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나쁘다’는 응답이 34.1%, '좋다'는 답변은 23.5%로 조사됐다. 큰 변화가 없다는 '보통'  응답도 40.5%나 나왔다.  ⓒ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4월27~29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06명을 대상으로 현재 각 가정의 경제 상황과 생활 형편 등 ‘가계경제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나쁘다’는 응답이 34.1%, '좋다'는 답변은 23.5%로 조사됐다. 큰 변화가 없다는 '보통'  응답도 40.5%나 나왔다.  ⓒ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4월27~29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06명을 대상으로 현재 각 가정의 경제 상황과 생활 형편 등 ‘가계경제 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나쁘다’는 응답이 34.1%, '좋다'는 답변은 23.5%로 조사됐다. 큰 변화가 없다는 '보통'  응답도 40.5%나 나왔다.

전국 7개 권역중 가정경제 체감도가 가장 나쁘다고 응답한 권역은 부산·울산·경남으로 39.3%, 이어 광주·전라가 39.2%다. 지역별로는 전남(50.4%)이 유일하게 ‘나쁨’ 응답률이 과반을 넘은 가운데, 광주(43.3%), 경남(42.7%) 등도 체감 경기가 좋지 않았다.

세대별 체감도는 달랐다. 가장으로 경제활동이 활발한 40~50대는 '나쁨'과 '좋음'이 각각 38%와 20% 내외로 빠듯한 가계형편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이 배 가까이 많았다. 노년층에 양극화가 심한 60대 이상도 '나쁨'이 '좋음'에 비해  1.7배  많이 나왔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4월27~29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 남여별 연령대별 ‘가계경제 체감도’ 여론조사 결과.  ⓒ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4월27~29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2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 남여별 연령대별 ‘가계경제 체감도’ 여론조사 결과.  ⓒ스트레이트뉴스

 성별 가계경제 체감도에서  살림살이가 나쁘다는 남녀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집안 생활을 사실상 짊어진 여성의 '나쁨'과 '좋음'은 34.4%, 20.9%로 '나쁨'이 13.5%포인트 높아, '나쁨'이 7.7%포인트 우위인 남성에 비해  가계경제 악화의 체감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지지도와 이념성향별 가계경제 체감도 차이는 크게 벌어졌다.

‘나쁨’ 답변은 더불어민주당(43.0%), 녹색정의당(44.1%), 조국혁신당(41.3%), 진보당(42.0%) 지지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국민의힘(20.5%) 지지층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같은 맥락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국민의 ‘나쁨’ 응답률은 14.6%에 그쳤으나,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국민은 42.9%로 약 3배나 많았다.

이번 조사를 수행한 조원씨앤아이 관계자는 “통계상으로는 경기가 바닥을 치고 올라가는 분위기지만 온기가 아직 각 가정에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의 삶과 직결된 생활물가가 여전히 높고 기대했던 금리인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가계의 대출상환 부담이 커 가처분 소득이 줄어든 것도 한 몫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번 조사는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를 실시한 결과이며, 표본수는 2006명, 응답률은 2.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다. 통계보정은 2024년 3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