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 10년 만에 최고
“고금리 지속…하반기 까지 취약차주 연체 이어질 것”
최근 현금 서비스와 카드론 등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1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1금융권에서 신용점수 부족으로 밀려 2금융권으로 간 취약 차주들이 이마저도 쉽지 않자 장기 대출 대비 상환이자가 높은 단기 대출로 몰린 결과로 보인다.
2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지난 2월 말 3.4%로, 2014년 11월(3.4%) 이후 최고 수준으로 집계됐다.
일반은행은 카드 전업사 외에 카드업을 겸영하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하루 이상 원금 연체 기준 일반은행의 카드 연체율은 지난해 2월 말 2.5%에서 1년 만에 약 1%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1·2금융권 대출에 실패하고 카드론 등으로 소액 급전이라도 쓰려던 차주들이 벼랑 끝에 몰리고 있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1금융권은 연체율 관리와 당국의 가계대출 축소 지도에 발맞춰 지난해부터 대출 심사를 강화,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고 신용점수가 높은 차주들 위주로 신용대출에 나섰다.
아울러 고금리 장기화에 자산 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도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신규 대출 영업을 자제해왔다.
실제로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지난 3월 말 101조3777억원으로, 1년 전(113억1739억원)보다 10% 이상 감소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이미 대출을 턱밑까지 일으킨 다중 채무자들이 마지막으로 카드 대출을 받았다가 원리금을 상환에 실패하는 상황이다.
3월 말 은행 신용카드 연체율은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다시 상승할 불씨가 남아 있다.
연체율이 3% 후반대로 올라서면 2003~2005년 카드 사태 이후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도 있다. 종전 최고치는 2005년 8월의 3.8%였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금리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인 만큼 취약 차주들의 연체가 올해 하반기까지 더 증가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