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이 AI(인공지능)를 활용한 'AI 공정 레시피'를 통해 고사양 카메라 모듈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LG이노텍은 초기 낮은 수율로 인한 양산 지연 등의 업계 난제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이 AI에 있을 것으로 보고 2021년부터 공정 불량을 사전 예측하는 AI 개발에 착수해 'AI 공정 레시피'를 만들었다.
최초 설정된 공정 전체 프로세스를 AI가 전수 점검해 불량 발생이 예상되는 공정을 사전에 탐지한다. 이후 불량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AI가 기계의 작동 강도, 컨베이어벨트의 속도, 실내온도 등 공정 과정의 수많은 변수를 반영한 시뮬레이션을 돌린다. 이를 통해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공정 레시피를 도출하는 원리다.
특히 가벼우면서도 슬림한 기기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카메라 모듈 스펙이 점차 초슬림·고사양화된 만큼 카메라 모듈 한 개당 수십여 단계의 초정밀 공정을 거치는 등 과정이 한층 까다로워졌는데, LG이노텍은 여기에 AI 공정 레시피를 도입해 효율성을 확대한 것이다.
기존에는 카메라 모듈 양산 초기 성능검사에서 불량이 감지되면 새로운 공정 레시피를 찾는 데 72시간 이상이 소요됐으나 'AI 공정 레시피'가 적용되면서 이 과정이 6시간 이내로 단축됐다는게 LG이노텍의 설명이다. 엔지니어의 경험에 의존해 레시피 수정 및 샘플 생산을 수차례 반복해야 했던 번거로움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특히 AI 공정 레시피 적용 결과, 기존 불량 검출률이 높았던 주요 검사항목에서 불량률이 최대 9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AI 공정 레시피 도입으로 카메라 모듈의 불량률이 낮아지면서 LG이노텍은 원가경쟁력 제고 효과도 거뒀다. LG이노텍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1.1% 늘어난 1760억원을 기록했다.
LG이노텍은 올해 안에 AI 공정 레시피를 반도체 기판에도 확대 적용하는 등 AI를 활용해 수율을 높일 수 있는 제품 종류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