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재입시절 사기라고 표현한 것과 반대 행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가상자산 사업에 법적 틀과 안전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공화당 소속으로 대통령 선거에 나선 그가 향후 당선시 가상자산 규제에 힘을 실을지에 대해 귀추가 주목된다.
16일(현지시간 기준) 주요외신 보도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후보는 자신의 두 아들인 도널드 주니어와 에릭이 운영하는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 출범에 맞춰 진행한 온라인 대담에 참석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온라인 대담에서 “가상자산업계가 번창하고 생존하려면 미국에 법적 틀이 중요하다”며, “특정한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장자산 생태계가 완전히 자유방임 상태일 수는 없다"면서 “일부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들도 이러한 안전장치를 원한다”고 전했다. 다만 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지나친 적대적 접근이 문제”라며 “미국이 이 기회를 놓치면 중국 등 다른 나라가 가상자산 비즈니스를 주도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최근 재선 도전과 함께 가상자산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는 앞서 참석한 ‘비트코인 2024 콘퍼런스’에서 “가상자산 산업 육성을 약속한다”며 “미국을 세계 가상자산 수도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는 트럼프 후보가 과거 대통령 재임 시절 가상자산을 사기라고 표현한 것과 다른 행보다.
9월 초 뉴욕타임스(NYT)와 시에나 대학이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후보 지지율은 48%로 47%의 해리스 부통령을 근소하게 앞섰다.
만약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미국을 가상자산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그의 약속이 시장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트럼프 후보의 가상자산 친화적 행보는 비트코인 상승세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 대선 TV 토론을 하루 앞두고 트럼프의 당선 기대감이 커지면서 비트코인이 6%대의 상승을 기록했다.
한편 연초 미국에서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허용되며 가상자산 투자가 인기를 끌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