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위 국정감사서 최근 동향 등 보고
"김정은 암살 가능성 우려, 경호 격상"
"김여정, 최선희 등이 김주애 보좌"
국가정보원은 29일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중 고위급 장성 등을 포함한 일부 병력이 전선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가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정원에서 비공개로 진행한 국정감사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과 러시아 간의 병력 이송이 진행 중”이라며 “고위급 군 장성을 포함한 일부 인원의 전선 이동 가능성을 열어두고 확인 중”이라고 보고했다.
또한 “러시아군이 북한군에게 러시아 군사 용어 100여개를 교육하고 있다”면서 “북한군이 어려워한다는 후문이 있는 상태라 소통 문제의 해결이 불투명한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10월 23∼24일 모스크바와 평양을 왕복한 러시아 정부의 특별기에는 북한군 파병에 관여하는 러시아 안보 핵심 관계자가 탑승했던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면서 양측의 이견조율 차원이라고 진단했다. 전날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러시아 방문에 대해선 “추가 파병 및 반대급부 등 후속 협의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올해 북한 노동자 4000여명이 러시아로 파견됐으며 지난 6월 신조약 체결 이후 광물을 비롯해 국제 제재를 받는 금수품에도 이면 합의가 이뤄지는 등 경제 분야 협력에도 속도를 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편 김정은 국무위원장 일가 동향과 관련해 국정원은 북한이 최근 김 위원장에 대한 암살 가능성을 의식해 경호 수위를 격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올해 김정은의 공개 활동은 작년에 비해서 현재까지 110회, 약 60% 이상 증가한 가운데, 김정은에 대한 암살 등을 의식해서 통신 재밍 차량 운용, 드론 탐지 장비 도입 추진 등 경호 수위를 격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번 달 들어서는 '주체' 연호 사용을 중단하는 등 선대 삭제, 김정은 독자 우상화 조치가 강화되고 있다"고 보고했다.
후계자 수업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김 위원장의 둘째 딸 김주애에 대해서는 최근 지위가 격상된 것으로 분석했다.
국정원은 "김여정의 안내를 받거나 최선희의 보좌를 받는 등의 활동이, 그 지위가 일부 격상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울러 "러시아 대사와 직접 담소를 나누는 장면, 김정은·김주애 둘이 있는 '투샷 사진'을 공개한다든지, 전담 경호원을 대동하는 등 확고한 입지가 감지된다"고 보고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제항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