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요구불예금 줄고 마이너스통장 커지고
美 주식 보관액 1000억 달러대…가상자산도 '들썩'
미국 대선 결과가 나온 이후 금융권 자금 흐름이 은행에서 투자로 옮겨가고 있다. 금리 인하가 진행되고 트럼프 당선 효과를 기대한 미국주식과 가상자산 등으로 자금이 빠르게 이동하는 모양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4일 기준 요구불예금 잔액은 총 587조6455억원으로, 지난달 31일(597조7543억원)보다 1.7% 줄었다.
고금리에 앞다투어 가입하던 예금과 달리 언제든 이동할 수 있는 부유(浮游)자산인 요구불예금이 투자 영역으로 흘러간 영향으로 보인다.
여기에 적극적인 투자를 위해 적금을 깨는 움직임마저 감지된다.
5대 은행의 적금 잔액은 지난달 31일 총 38조9176억원에서 이달 14일 38조1305억원으로 7871억원(2.0%) 줄어 요구불예금보다 감소율이 컸다. 1년 만기 적금 금리가 3%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투자를 통해 그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판단의 결과로 풀이된다.
한발 더 나아가 5대 은행의 '마이너스 통장'(신용한도 대출) 잔액은 같은 기간 총 38조8657억원에서 39조6179억원으로 7523억원(1.9%) 늘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를 멈추는 상황에서 마이너스 통장 잔액 확대는 장기가 아닌 단기 융통 자금의 성격이 크다는 점에서 이 또한 투자자산 확보 차원으로 여겨진다.
이를 뒷받침하는 흐름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실명계좌 거래 제휴중인 케이뱅크로의 뭉칫돈 이동이다.
요구불예금 감소는 개인 뿐 아니라 법인자금 이동도 한 흐름이다. 기업들이 유휴자금을 투자를 통해 적극적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심리가 되살아나, 머니마켓펀드(MMF), 초단기 정기계금, 채권형 펀드 등 비교적 변동성이 낮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좋은 자산으로 옮겨타고 있다는 게 은행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빠져나간 은행 돈이 향하는 곳은 미국 주식이다.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공약으로 활력이 살아나는 미국 경제에 배팅하려는 심리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14일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보관 금액은 1000억7900만달러 규모로, 미 대선 직후인 지난 7일 사삼 처음으로 1000억원 달러를 넘어 11일 한때 1035억1000만달러까지 오르는 등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 14일까지 투자자들이 이달 들어 가장 관심을 보인 종목은 미국 반도체 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지수형 ETF SOXL로 순매수 규모가 2억7500만달러다.
반면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 예탁금은 지난달 31일 50조5866억원에서 이달 6일 49조8900억원으로 줄었다가 14일 52조9552억원으로 다시 늘었다. 트럼프 효과로 이탈한 자금이 급락한 코스피 저가매수를 위해 회귀하는 상황이다. 투자자예탁금은 투자 전 대기성 자금으로 상승장에서는 규모가 커지는 특성이 있다.
가상자산 시장도 연일 뜨겁다.
가상자산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의 전날 오후 6시 기준 24시간 거래 규모는 15조원대로 집계됐다.
지난 13일에는 국내 최대 거래소 업비트 한 곳의 하루 거래액이 25조원까지 치솟았다.
1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13일 미국 거래소 코인베이스에서 9만3482달러, 업비트에서 1억3104만1000원으로 각각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뒤 현재 소폭 하락한 상태다.
가상자산시장이 불을 뿜지만 국내 거래소 관계자들은 초조함도 보이고 있다.
5대 거래소 중 한 곳의 관계자는 “과거엔 김치프리미엄이 작용해 국내 거래소로 돈이 몰렸지만, 이제 그런 효과는 사라지고 오히려 해외 거래소를 찾아 가려는 움직임이 더 커지고 있다”며, “우량 가상자산의 현물ETF 상장이나 답보상태인 가상자산 과세 문제 등이 조기에 해결되지 않는다면 지금의 호황은 반짝 이벤트에 그칠 수 있다”고 염려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