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목포대 34년의 노력...의과대학 설립지역 미지정에 대한 아쉬움
통합대학이 도민 전체의 생명권 보장을 위한 출발점 되기를 기대
김원이 의원, 국립목포대,순천대 통합 존중...목포의대 설립돼야
윤석열 정부 반드시 약속 지켜야...전남도 행정혼선 무한책임 비판
전남 목포시는 전남권 의과대학 유치를 위해 대학 통합을 이끌어 낸 국립목포대학교와 국립순천대학교의 합의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18일 밝혔다.
목포시는 지난 15일 이뤄진 합의에 대해“학령인구 감소와 1도 1국립대 정책이라는 현실 앞에 수많은 고민을 했을 전라남도와 양 대학 관계자들의 노고의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양 대학의 통합은 대한민국‘초일류 거점대학’으로 성장하는 초석이 될 것이며, 지역거점 국립대학교로서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 상생발전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고 평가했다.
이어 “더 나아가 양 대학의 통합을 전제로 한 의과대학과 대학병원 신설이 전남의 지역 완결적 의료체계 구축과 도민 전체 생명권 보장의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목포시는 정부의 신속하고 책임있는 약속 이행과 2026학년도 통합대학 의대 정원의 조속한 배정을 위한 정부 협의와 동·서부 양 지역에 대학병원 설립 관련 재정 확보 및 의료인프라 구축에 전폭적인 지원을 전라남도에 요청했다.
특히, 목포시는 전남권 의과대학은 전남서부권의 중심도시인 목포에 반드시 건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목포시는“통합대학 의대 부속병원이 전남 최대 의료취약지인 신안·진도·완도 등 도서지역을 둘러싼 서부권 중심도시 목포에 반드시 건립되어야 하는 당위성과 역사성이 있음”을 강력히 주장했다.
이와 함께 목포시는“통합대학 의대 및 부속병원 설립 소요 재원은 전남 22개 시·군의 열악한 재정 상태를 고려해, 국립 병원 신설에 따른 사업비를 전액 국비로 지원되어야 한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하지만 목포시는 목포시와 국립목포대학교의 지난 34년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통합의대 설립’합의에 의과대학을 어느 대학으로 할 것인지 명확히 지정하지 않은 점에 큰 아쉬움을 표했다.
이와 함께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목포시)이 국립목포대와 국립순천대의 통합 및 의대설립 합의 관련, 양 대학의 합의를 존중하며 목포의대 설립으로 결론을 맺을 것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18일 김 의원은 입장문을 통해 “국립목포대와 국립순천대의 대학통합 및 의대설립 합의를 존중한다”며, “먼 길을 돌아 여기까지 왔다. 이제 목포의대 설립으로 결론을 맺을 때이다”며, 소감을 밝혔다.
이어 “전남권 의대 설립운동의 원조는 목포다. 목포시민은 1990년부터 34년간 목포의대 설립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해왔다”며, “교육부의 목포의대 설립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편익분석(B/C) 1.70으로 경제성이 확인됐다. 지역간 의료격차 해소의 당위성, 유인도서 분포도, 인구노령화 지수 역시 목포의대 설립의 당위성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원이 의원은 “전라남도 국립의대 설립 혼란은 윤석열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서 시작되었다. 윤석열 정부는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의원은 의대설립 추진과 관련해 “전라남도의 무한책임과 역할이 필요하다. 반성도 필요하다. 공동의대 추진, 통합의대 추진, 단독 의대 공모, 다시 대학통합을 전제로 한 통합의대 추진 등으로 전남도민은 혼란에 빠져있다”고 전남도 행정을 비판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목포의대 설립은 제가 정치하는 가장 큰 이유다. 목포의대가 설립되는 순간까지 목포시민과 함께 할 것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전남= 조완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