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인구 중 2.5% 외국인...“동반자이자 구성원이라는 인식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함에 따라 부산시가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
부산시는 지난 18일 '2024년 다문화가족지원협의회'를 개최해 '2025년 부산광역시 다문화가족지원정책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19일 밝혔다.
회의에는 시, 시교육청,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고용복지플러스센터 등 공공기관, 관계기관의 전문가들 12명이 위원으로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부산에 외국인 주민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한 지원방안, 유관기관과 협력방안 등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부산의 외국인 주민은 8만 3천4백1명(총인구의 2.5%)으로 이는 10년 전보다 8천여 명(30%) 늘어난 수치다.
이번 회의는 부산에 외국인 주민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외국인에 대한 사회통합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각계 전문가, 현장 관계자들과 함께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시교육청, 출입국·외국인청 등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시는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성장단계별 지원, 결혼이민자 정착주기별 지원, 상호존중에 기반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다문화정책 추진기반 강화 등 4개 정책과제를 설정하고 총 92개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다문화 아동·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해 인재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학령기 미래 설계와 심리지원 사업을 강화한다.
또한 이민자들이 다양한 영역의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취·창업 역량 강화사업에 중점을 두는 등 다문화가족의 정책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정책을 마련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이용이 어려운 다문화가정의 아동을 찾아가 한국어교육, 부모교육, 자녀 생활을 지도하는 '방문교육 서비스' 운영을 확대하고,진로체험지원센터 등 전문기관을 활용해 다문화 청소년 일대일(1:1) 진로상담과 학업 상담(컨설팅), 진로체험 등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이어 시민의 다문화 감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문화 이해 교육을 강화하고 '외국인과 어울림의 장'을 마련하는 등 시민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이경덕 부산시 기획관은 "우리시는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불편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외국인 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해 각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갈 것"이라며 "부산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지역의 미래를 함께 책임지고 있는 구성원이자 동반자라는 인식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부산=이효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