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이면 누구나 가입…지역 상관없이 최대 2000만원 보장

광주광역시는 시민의 생활안정을 위해 오는 21일부터 '광주시민안전보험'의 보장 항목과 범위를 확대 운영한다.

광주시는 시민안전보험의 보장항목을 지난해 11개 항목에서 올해 △개인형이동장치(PM) 상해사망(1000만원) △개인형이동장치(PM) 상해후유장해(1000만원)를 추가해 13개 항목으로 늘렸다.

광주시민안전보험 안내문 (사진=광주광역시)
광주시민안전보험 안내문 (사진=광주광역시)

또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후유장해의 보장한도액을 1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증액해 보험 운영의 실효성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개물림 사고 때 응급실에서 치료받은 경우에만 지원하던 것을 일반병원(의원 포함)에서 치료받아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보장범위를 확대하고 개물림사고 진단 때 5만원을 보장하도록 조정했다.

이밖에도 △사회재난 사망(1000만원) △자연재해 사망(1000만원) △자연재해 후유장해(1000만원 한도) △화재·폭발·붕괴 상해사망(2000만원) △화재·폭발·붕괴 후유장해(1000만원 한도) △대중교통이용 중 상해사망(1000만원) △익사사고 사망(200만원) △스쿨존 교통사고 부상치료비(1000만원 한도) △실버존 교통사고 부상치료비(1000만원 한도) 등 9개 항목은 기존 보장내용을 그대로 유지한다.

'광주시민안전보험'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주소를 둔 시민(등록외국인 포함) 모두가 보장대상이다. 별도의 가입절차와 보험료 부담 없이 자동 가입되며 광주 이외지역에서 발생한 사고도 보장받을 수 있다.

2025년도 계약(가입)기간은 2월21일부터 내년 2월20일까지(1년)이며 피해를 입은 광주시민은 사고 발생일로부터 3년 이내에 보험사로 직접 보험금을 청구하면 된다.

광주시민안전보험 청구방법·청구절차에 대한 내용은 광주시 누리집과 재난보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또는 광주시 안전정책관 문의하면 된다.

광주시는 지난 2020년부터 광주시민안전보험을 시행해 '학동 철거건물 붕괴사고' 피해자 8명에게 8000만원, '화정 아이파크 붕괴사고' 피해자 4명에게 8000만원 등 총 375건, 11억6200여만원이 지급됐다.

이부호 안전정책관은 "자연재해, 화재‧폭발‧붕괴 등의 사고는 예기치 못한 형태로 우리의 일상생활을 위협하고 있고 특히 사회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도 늘고 있다"며 "재난·사고 피해 때 빠른 일상회복을 도울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강화해 더 따뜻한 안심도시 광주를 만드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전남=김동언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