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전·세종·충청 오차범위내에서 '팽팽'
중도층, '정권교체 60.3% vs 정권연장 35.0%'
'조기 대선'이 실시될 경우, 그 결과에 대해 국민 여론은 '정권교체'와 '정권연장'을 놓고 팽팽하게 나뉘지만 이념성향 중도층에 국한시키면 10명 가운데 6명이 정권교체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22~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4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 결과에 대해 어떻게 기대하는지 조사한 결과 '정권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 48.3%, '정권연장을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 45.9%로 응답했다. '모름'은 5.8%이다.
'정권교체'와 '정권연장'이 오차범위내에서 팽팽하게 맞선 것으로 2주전 조사 때보다 '정권연장' 응답률이 약간 증가하고, 이에 비례해 '정권교체' 응답률이 조금 감소했는데 헌재의 탄핵심판이 가까워지면서 보수층이 진보층에 비해 응답 참여가 크게 늘어난 결과로 해석된다.
인천·경기(50.7%), 광주·전라(59.4%), 강원·제주(55.6%)는 '정권교체'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경북(57.1%), 부산·울산·경남(51.5%)은 '정권연장' 응답률이 오차범위를 훨씬 넘어 우세했다.
오차범위내에서 서울은 '정권교체' 응답률이, 대전·세종·충청은 '정권연장' 응답률이 높게 나왔다.
또 50대 이하는 '정권교체', 60대 이상은 '정권연장'으로 갈렸다. 여성이 '정권교체' 쪽에 쏠리고 있는 것과는 달리 남성은 '정권연장' 47.4%, '정권교체' 47.2%로 팽팽했다.
중도층은 '정권교체' 60.3%, '정권연장' 35.0%로 야당 후보 당선을 적극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를 실시한 결과이며 표본수는 2004명(총 통화시도 4만 2256명, 응답률 4.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이다. 통계보정은 2025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제항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