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박정훈 의원 “일부 골프장 횡포로 골퍼 불편"
"그린피 인상 등 과도" VS "골프장 운영 힘들어져"
다가온 봄 시즌 수도권 유명 골프장 주말 부킹시 그린피 30만원, 캐디피 16만원, 카트비 10만원으로 4명 한 팀이 골프장에 지불하는 금액은 140만원을 훌쩍 넘긴다. 일부 골프장은 클럽하우스 식사를 부킹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기도 한다. 골퍼들 사이에서 '골프장 갑질' 논란이 불거지는 이유다.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골프장 갑질 근절 토론회'가 열려 현재의 골프장 이용 실태와 해결 방안을 놓고 열띤 공방이 벌어졌다.
토론회를 마련한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은 “최근 골프장의 과도한 요금 인상과 서비스 질 저하 문제가 심각하다”며 “골프가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잡았는데도 일부 골프장들의 불합리한 관행과 횡포로 많은 골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골프장의 '갑질'이 있느냐, 없느냐를 놓고 이해관계에 따라 이견이 현격하게 드러났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장은 그린피 등 골프장 이용가격이 폭등한 요인에 대해 골프 인구 증가와 법인카드의 골프장 손비를 인정하지 않는 점을 꼽았다.
서 소장은 “2022년 골프장내 법인카드 사용액은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보다 67.7% 상승한 2조 1625억원으로 집계됐다”며 “법인카드의 손비 한도를 늘리면서 그린피 역시 동반 폭등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법인카드의 골프장 손비를 인정하지 않으면 접대 골프가 사라지며 골프 문화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다”며 “중상급자 골퍼들에게 노캐디 선택권을 주는 것도 비용 절감을 불러올 수 있다. 사실상 강제가 된 카트 사용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서 소장은 또 "수도권 골프장을 중심으로 연간 단체회원이나 단체팀에게 그린피 이외에 클럽하우스 식사, 용품구입 등을 강요하는 상황을 탈피해야 한다"면서 "3명이 플레이하더라고 4명의 이용료를 지불하도록 강요하는 것도 불합리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국골프장경영협회 김훈환 부회장은 “경기 침체와 MZ 세대 이탈 등으로 골프장 내장 인구가 크게 줄었다”며 “골프장 그린피는 시장경제 논리에 맡기면 된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세제혜택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골프장 경영난을 호소하기도 했다.
한국대중골프장협회 김태영 부회장도 “소수 사례를 일반화할 수 있는 우를 범할 수 있다”며 “대부분의 골프장은 ‘갑질’과 거리가 멀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골프장 이용 표준약관 개정을 비롯해 일본 사례와 같이 법인세법상 접대비 손비인정 제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것”이라며 “제도적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제항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