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 총수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를 위한 탄원서를 낼까. 아니면 경제단체라도. 특별 사면을 받았던 재벌 총수가 다수 있다. 정부여당은 법인세를 낮춰주고 각종 조세 감면에 기업집단 규제도 대폭 완화했다. 계엄 직전엔 코리아디스카운트 명분으로 상속세 폐지도 추진했다. 친기업 정부를 위해 재계가 보은할 만도 하다. 하지만 아직 냈다는 소식은 없다. 이미 늦은 감이 있다.
누가 모난 돌을 자처하겠나. 트럼프에 충성 서약한 머스크를 보라. 테슬라는 불타고 주가는 폭락했다. 기업인은 모나지 말아야 한다. 정권 초기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전 정권과 친하다는 지라시가 돌았다. 이혼소송 항소심 결과와 연결 짓는 음모론도 있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무죄를 받고,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이 보석 석방된 것과 최 회장은 다른 분위기였다.
혹여 정권이 바뀐다면 음모론은 어디를 향할까. 재계에선 현대차를 떠올린다.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에 정의선 회장이 재벌 총수 중 홀로 직관했던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부산 떡볶이’ 행사에서 빠진 것을 두곤 재계에 궁금증이 컸다. KT-현대차 간 보은성 투자 의혹 관련, 검찰 수사 방향에 대한 소문도 그때쯤 뜨거웠다.
민주당이 정권을 잡는다면, 현대차는 과거의 인연에 얽힐 수도 있다. 공영운 전 현대차 사장에 대한 정가의 소문이 있었다. 처음엔 미국 IRA 대응을 잘 못했다는 정의선 회장의 노여움 발 문책 인사로 비쳤다. 나중엔 공 전 사장이 물밑에서 민주당과 접촉해 왔다는 억측이 돌았다. 공 전 사장이 민주당 경제특보를 맡은 결과와 억지로 연결 지었을 법하다. 그런 이유라면 친정에 반감이 있을 텐데, 국회 공식 석상에서 공 전 사장은 현대차를 언급하기에 조심스러워했다.
재계는 검찰 출신 대통령에 대한 두려움이 컸다. 일례로 포스코와 KT 수장이 교체된 과정엔 사법 이슈가 뜨거웠다. 각종 고발과 검찰 수사가 활발했고, 그 여진은 지금도 계속된다. KT 사건이 이달 말 첫 공판을 앞뒀다. KT가 정의선 회장 동서 회사를 비싸게 사줬다는 의혹이다. 검찰은 윤경림 전 KT 사장 등 KT 관계자만 기소했다.
KT 최대주주가 된 현대차의 자사주 교환은 작년 국감에서도 쟁점이었지만, 증인 명단에 올랐던 정의선 회장은 결과적으론 아무 일 없었다. 오는 공판에선 윤 전 사장 개인일탈로 본 검찰의 공소유지가 펼쳐진다. 공여자는 있고 수수자는 없는 배임 사건에서 검찰이 어떤 논리를 내세울지 주목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재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