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X금시장 개설 11주년 기념 시장 활성화 세미나’ 개최
세제 지원 확대 필요…금 가격 온스당 3100달러까지 상승할 듯
장외시장 중심으로 이뤄지는 금 거래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세제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금 가격이 온스당 3100달러까지 오를 거라는 예상 속에 커지는 금시장 거래의 양성화 방안에 관심이 모인다.
한국거래소는 24일 서울 사옥 컨퍼런스홀에서 'KRX금시장 개설 11주년 기념 활성화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귀금속 사업자, 금융투자업자, 보관시관인 한국예탁결제원, 품질인증기관 한국조폐공사 등 관련 전문가들이 함께했다.
특히 김진 동덕여대 교수는 "'종로'로 지칭되는 장외시장에서의 거래가 여전히 장내거래보다 훨씬 많은 실정"이라며 "장내거래의 확장을 통해 조금 더 투명한 거래가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대량거래 가능, 간단한 인수·인도 절차, 시장 지배력에 의한 프리미엄 가격 수취 가능 등을 장외시장 활성화의 이유로 지목했다.
특히 KRX현물시장 활성화를 위해 법인들에 대한 조세감면 복귀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KRX금시장 이용 사업자에 법인세와 소득세 감면 혜택을 줬던 것은 재도입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이에 더해 금지금에 대한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실시간 공제, 내년 일몰 예정인 금 관세 면세 조치 연장 여부 타당성 검토 등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전(前)한국조세재정연구원 홍범교 부원장이 좌장을 맡아 ‘KRX금시장 활성화 및 유동성 제고 방안’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온현성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소장은 ▲음성화된 정련금(고금) 시장의 제도권 편입 ▲금 시장 양성화를 통한 국내 주얼리 사업 육성 ▲고금 관련 수출품의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성기 LS증권 연구원은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서 금은 단연 아웃퍼폼(가치상승)할 것"이라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의 단기 기대인플레 상승과 동시에 경기 둔화를 불러올 것으로 금 가격 상승세를 뒷받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앙은행이 금 매입을 지속한다는 가정하에서 금 가격은 장기적, 구조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며 "과거 금 매입에 따른 금 가격 상승효과를 감안하면, 지난 2년간의 매입 속도를 유지한다면 금 가격은 온스당 31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