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피해 3만 6000㏊...서울시 면적 절반 규모
"사망·중상자 고령층 집중, 선제적 대피 필요”
영남권에서 발생한 동시 산불 사태로 26명이 숨지는 등 56명에 달하는 인명피해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또 피해 산림 면적은 서울시 전체 면적의 절반 규모인 3만 6009㏊로 집계됐다. 2000년 발생한 동해안 산불 피해 면적(2만 3794㏊)을 훨씬 뛰어넘는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될 전망이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 기준 인명피해는 사망 26명, 중상 8명, 경상 22명이다.
권역별로 보면 경북이 사망 22명, 중상 3명, 경상 16명 등 41명으로 가장 많았다. 경남은 사망 4명, 중상 5명, 경상 4명 등 13명이었고 울산에서는 경상 2명이 나왔다.
주민 대피 인원은 이날 오전 5시 기준 3만 7185명이다. 이중 산불 피해가 가장 큰 의성·안동에서 2만 9911명의 이재민이 대피했다. 아직 귀가하지 못한 1만 6700명이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진화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중·대형 산불 지역은 모두 10곳이다. 지역별 진화율은 산청·하동 77%, 의성 54%, 안동 52%, 청송 77%, 울산 울주 온양 76%다. 의성에서 난 산불이 확산한 영덕은 10%, 영양도 18%에 불과한 상태다.
울주 언양과 경남 김해는 진화가 완료됐다.
중대본 관계자는 “피해자 가운데 사망·중상자 대부분은 60대 이상의 고령층으로, 신속한 대피가 어렵거나 대피 명령에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지자체는 선제적 주민대피 체계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도 최악의 산불 대응태세 점검에 총력을 다했다. 한 대행은 특히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역대 최악의 산불로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상황에서 이재민 구호와 지원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산불이 진정될 때까지 경북 지역에 상주하며 관련 작업을 총괄 지휘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이재민 가운데 요양병원 환자분들을 포함해 고령자가 많아 걱정스럽다”면서 “이재민의 건강과 안전을 현장에서 직접 챙기고, 산불 진화 인력과 자원봉사자들도 탈진하지 않도록 효율적인 지원 체계를 가동해달라”고 당부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제항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