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SK브로드밴드 자회사 편입에 활용
최태원 'AI데이터센터(DC)' 강조…SKT·브로드밴드 역량 결집 집중

서울 중구 SK텔레콤 T타워. SK텔레콤 제공
서울 중구 SK텔레콤 T타워. SK텔레콤 제공

그룹 리밸런싱(사업재편)에 한창인 SK그룹이 AI(인공지능)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그룹 내 IT 계열사 결집에 속도를 내고 있다.

26일 SK그룹에 따르면 그룹의 통신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SK텔레콤이 지난 25일 SK브로드밴드와의 시너지 확대를 위한 자금을 마련하고자 보유하고 있던 카카오 지분 전량을 시간 외 대량 매매(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기로 했다.

SK텔레콤이 매각하는 카카오 주식 수는 총 1081만8510주다. SK텔레콤 측은 "SK브로드밴드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한 지분을 인수하고 AI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위한 자금을 확보하고자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의 지분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11월 태광그룹과 미래에셋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SK브로드밴드 지분 24.8% 전량(태광 16.75%, 미래에셋 8.01%)을 인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다음달 까지 해당 지분을 주당 1만1511원으로 평가해 총 1조1500억원에 매수할 예정이다. 지분 인수가 완료되면 SK텔레콤이 SK브로드밴드 지분을 99.1%까지 확보하게 되는 셈으로, 사실상 SK브로드밴드가 SK텔레콤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SK브로드밴드의 경우 IPO(기업공개)를 철회한 상태다. SK 측은 "유무선 통신, 데이터센터, 해저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이 SK브로드밴드와의 시너지를 확대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추진하는 AI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기 위해서다.

최 회장은 AI 분야를 '리딩'하는 SK그룹 리밸런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SK가 보유한 사업군을 활용한 AI 미래 동력의 핵심으로 'AI 데이터센터(AIDC)'를 콕 집은 상태다.

AIDC는 GPU(그래픽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된 서버를 다량 구축해 AI 머신러닝과 생성형 AI 서비스를 24시간 제공하는 시설로, AI 시대가 고도화되면서 점차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한국IDC가 "오는 2027년까지 신규 AI 애플리케이션의 50%가 생성형 AI 모델과 결합될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도 내놓는 등 AI DC를 둘러싼 전망도 밝다.

이에 따라 SK그룹은 AIDC 건축(SK에코플랜트)과 서버 구축에 필요한 반도체(SK하이닉스), 전력(SK이노베이션), 통신망(SK텔레콤·SK브로드밴드), 서버 운영(SK C&C) 역량을 총망라해 AI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SK텔레콤은 SK브로드밴드와의 더욱 긴밀한 협력을 통해 AI 사업에서의 주도권을 잡는다는 목표다.

올해부터 SK텔레콤이 AI 역량 결집을 통한 'AI R&D(연구개발) 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SK브로드밴드는 기존 조직을 격상해 AIDC사업부를 신설해 3개 사업부 체제로 조직개편을 단행한 상태다. 이 AICD 사업부 수장은 하민용 SK텔레콤 글로벌솔루션오피스 담당(부사장)이 겸직하고 있다.

지난 17일에는 SK브로드밴드가 SK케미칼로부터 남구 황성동 소재 토지와 건물을 283억원에 매수했는데, SK텔레콤은 이 부지에 국내 최대 규모 연산량인 GPU 6만장 규모의 AI DC를 짓는다는 구상이다.

그룹의 'AI 추진단장'을 맡고 있는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AI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야 한다"며 "SK텔레콤-SK브로드밴드-SKC&C 시너지 체계 확립, 에이닷과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를 통한 B2C AI 서비스 가능성 입증에서 나아가 2025년에는 AI가 실질적인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SK #AI #SKT #SK브로드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