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매출 4조4537억원, 전년 동기比 0.5% 감소…영업이익 5674억원 기록

SK텔레콤 본사 전경. SKT 제공
SK텔레콤 본사 전경.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AI(인공지능) 사업에서 성장세를 보이며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한 5674억원을 기록했다.

12일 SK텔레콤은 올해 1분기 매출 4조4537억원, 영업이익 5674억원, 당기순이익 361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데이터센터 등 AI 사업과 유선 사업에서 성장했지만 지난해 일부 자회사 매각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AI 관련 사업 성장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8%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올해 1분기 데이터센터 사업은 가동률 증가 등에 힘입어 11.1% 성장한 매출 1020억원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은 중장기적으로 서버 10만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하이퍼스케일급) 데이터센터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는 예정이다.

AI 전환(AIX) 사업도 27.2% 성장한 452억원 매출을 올렸다. B2B(기업간거래) 사업에서 AI 마케팅의 수주가 늘며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SK텔레콤의 대표 AI 서비스인 에이닷은 누적 가입자 900만명을 돌파했다.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AI 에이전트 에스터는 지난 3월 말 미국에서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올해 하반기에 정식 출시한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 사업 역시 5G(5세대 이동통신)를 비롯한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의 꾸준한 증가세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만 SK텔레콤은 최근 일어난 해킹으로 유심 무료 교체를 진행하면서 지난 5일부터 전국 2600여 개 T월드 매장에서 번호이동을 포함한 신규 가입 업무를 전면 중단했다.

해킹 사태 여파에 따른 가입자 이탈 등의 재무적 결과는 오는 2분기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김양섭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현재 민관합동조사단이 정확한 유출 원인과 규모 등을 파악하고 있으며 회사 차원에서는 근본 사고와 관련한 어떠한 고객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경찰은 피해 서버와 악성코드 등의 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공격 위치의 인터넷주소(IP) 주소를 추적하고 있다.

김 CFO는 "침해 인지 즉시 해킹 의심 장비를 격리 조치했고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 시스템인 FDS를 최고 수준으로 가동하고 있다"며 "현재 적용 가능한 모든 SK텔레콤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완료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FDS와 유심보호서비스의 이중 장치는 유신 교체와 동일한 효과를 내고 있다"며 "금일부터는 업그레이드 된 유심보호서비스가 순차 적용돼 로밍 시에도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를 계기로 사업과 경영 전반을 되돌아보고 본원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 회사의 모든 역량을 고객 보호에 집중해 지난 40여 년 간 이어 온 신뢰를 변함없이 지켜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