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버스 200대 투입, 도시철도·경전철 증편...마지막까지 협상 설득 예정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시내버스 노조의 임금협상이 결렬되면서 파업이 예고되자 부산시가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시는 오는 28일 부산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 예고에 따라 노사 간의 원만한 협상을 유도해 나가는 한편 파업에 이르게 되는 경우를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 26일 오후 김광회 미래혁신부시장 주재로 시교육청, 부산경찰청, 부산교통공사 등 관계기관과 비상수송대책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시는 비상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투입, 도시철도·부산김해경전철 증편, 택시 집중운행, 승용차요일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 일시 해제 등을 시행한다.

전세버스는 도시철도와 마을버스가 없는 지역을 위주로, 임시정류소에서 인근 도시철도역까지 승객을 수송한다.

46개 임시노선에 전세버스 200대를 투입해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행하고 요금은 무료다.

도시철도와 경전철은 출퇴근 혼잡 시간대를 오전 7~10시, 오후 6~9시로 각각 1시간씩 연장하고, 평일 기준 도시철도는 50회, 부산김해경전철은 10회를 추가 운행한다.

택시는 파업 기간 운휴 차량을 최대한 줄여 승객 운송을 늘리고, 버스정류소를 택시승강장으로 개방한다.

또한 한시적으로 승용차요일제와 가로변버스전용차로 해제를 통해 시민들의 승용차 이용을 지원하며, 기업과 각급 학교에 출퇴근 시간 조정을 요청해 교통 혼잡시간을 분산할 예정이다.

김광회 미래혁신부시장은 "가능한 파업에 이르지 않고 임금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우리시는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다"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추진에도 최선을 다할 계획으로, 시민 여러분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부산=이효재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