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이 LMR(리튬망간리치) 양극재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기술 확보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이 잇달아 LMR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 출시 계획을 밝히면서 LMR 배터리가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3일 미국 제너럴모터스(GM)는 2028년부터 LMR 배터리를 채택한 전기차를 출시하겠다고 공식화했으며 미국 포드도 2030년 이전에 LMR 배터리를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며 2세대 LMR 배터리도 파일럿 생산 중이라고 알렸다.
LMR 배터리는 중국 배터리사들이 주력으로 생산중인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와 가격경쟁이 가능하면서도 성능은 더 우위에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
LMR 배터리는 가격이 비싼 코발트, 니켈을 대폭 줄이고 저렴한 망간 사용을 늘려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LFP 배터리가 리사이클링(재활용)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리튬회수율이 높은 LMR 배터리는 경제성에서도 우위를 가질 수 있다.
또 LFP 배터리와 비교해 33% 높은 에너지밀도 구현이 가능해 더 큰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LFP 시장을 빠르게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러한 장점에 착안해 LMR 배터리가 엔트리 및 스탠다드 전기차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보고 새 성장동력으로 'LMR 양극재'를 낙점하고 지난 2023년부터 글로벌 완성차업체 및 배터리업체와 공동으로 상용화 기술을 개발해 왔다.
포스코퓨처엠 기술연구소는 포스코그룹 R&D(연구개발)를 총괄하는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연구역량을 결집해 에너지밀도와 충·방전성능, 안정성 등을 꾸준히 개선해 온 결과, 지난해 LMR 양극재 파일럿 생산에 성공했다. 올해 안에 양산기술을 확보하고 대규모 계약 수주를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최근에는 고객사 요청으로 LMR 생산에 필요한 설비운영, 안전, 환경 분야 실사를 진행해 승인을 획득하면서 양산 체제에 한발짝 더 다가가게 됐다고 포스코퓨처엠은 설명했다. 대규모 신규투자 없이도 기존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 생산라인을 활용해 양산 체제를 갖출 수 있어 고객사 요청에 따라 제품을 적기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LMR 양극재 개발에 이어 향후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함께 에너지용량을 더 한층 높인 차세대 LMR 양극재 개발을 통해 LMR 제품 포트폴리오를 엔트리·스탠다드에서 프리미엄·대형 전기차(EV) 시장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