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부발전은 국가 핵심 기반 시설 보호와 국민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정부 주관 ‘2025년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을 5월 29일 충남 태안발전본부에서 실시하며 재난 대응 역량 강화에 나섰다.
이번 훈련은 드론 공격으로 인한 건물 붕괴와 땅꺼짐(싱크홀) 발생, 그리고 화학물질 누출이라는 복합적인 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진행되었으며, 실제 발생 가능한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실질적인 훈련으로 평가받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안전한국훈련은 재난 발생 시 공공기관의 초기 대응 능력부터 수습 복구 단계까지 전반적인 대응 체계를 점검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훈련이다.
특히 서부발전은 이번 훈련의 주제를 ‘드론 공격에 따른 건물 붕괴, 땅꺼짐 발생‧화학물질 누출 대응’으로 설정하고, 기획 단계부터 소방, 경찰, 군부대, 지자체 등 유관기관은 물론 민간단체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훈련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날 훈련에는 민·관·군·경·소방 등 총 12개 기관에서 182명의 인력이 참여하여 복합 재난 상황에 대한 높은 수준의 대응 훈련을 펼쳤다. 훈련은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 발생, 연이은 건물 붕괴 및 화재 발생, 그리고 갑작스러운 싱크홀 발생 등 예측 불가능한 복합적인 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실제와 유사한 긴장감 속에서 진행되었다.
서부발전은 재난 발생 초기 상황 전파부터 비상대응, 그리고 사고 수습 및 복구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점검했다. 특히 참여 기관들은 재난안전통신망(PS-LTE)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실시간 정보 공유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실제 재난 상황과 흡사한 훈련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했다. 또한, 위험한 발전 시설이나 인력 접근이 어려운 설비 점검에는 4족 보행 로봇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훈련의 효율성과 현실성을 높였다.
뿐만 아니라, 서부발전은 이날 본사와 재난 현장, 그리고 각 사업소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통합 훈련을 병행하여 최악의 재난 상황 발생 시 각 단계별 임무 수행과 사업소 간의 지원 체계를 면밀하게 점검했다. 이는 실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된다.
훈련을 총괄한 이정복 서부발전 사장은 “앞으로도 발생 가능한 다양한 재난 유형을 가정하여 실질적인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통해 위기 극복 능력을 강화하고 발전소 주변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한국서부발전의 ‘2025년 안전한국훈련’은 복합적인 재난 상황에 대한 철저한 대비 태세를 확립하고,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가 기반 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트레이트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