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급과 면담…국비 지원 기반 교육 생태계 논의

박지환 대표 등으로 구성된 방문단이 지난 5월 말 ‘사마르칸트 IT파크’에서 루스탐 카림조노프 디지털기술부 차관, 에감베르디예프 딜무로드 사마르칸트주 디지털화국장 등 정부 고위 관계자와 면담하고 있다. 씽크포비엘 제공
박지환 대표 등으로 구성된 방문단이 지난 5월 말 ‘사마르칸트 IT파크’에서 루스탐 카림조노프 디지털기술부 차관, 에감베르디예프 딜무로드 사마르칸트주 디지털화국장 등 정부 고위 관계자와 면담하고 있다. 씽크포비엘 제공

국내 AI 신뢰성 전문기업 씽크포비엘이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함께 AI 신뢰성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 개설을 추진한다. 급변하는 인공지능 시대에 대비해 새로운 글로벌 일자리 창출 모델을 제시하는 사례로 주목된다.

씽크포비엘은 지난 5월 말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IT파크에서 루스탐 카림조노프 디지털기술부 차관, 에감베르디예프 딜무로드 사마르칸트州 디지털화국장 등 중앙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AI 신뢰성 기술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9일 밝혔다.

회사 측은 이 자리에서 “AI의 이상 행동을 감지하고 통제하는 기술이 단순 기능평가를 넘어선 사회적 수용 기반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과정이 설치된다면 기술과 경험을 적극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우즈벡 정부도 AI 신뢰성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카림조노프 차관은 “씽크포비엘이 아카데미 법인을 설립하면 정부는 수강생의 교육비와 활동비를 국비로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아카데미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인력 수급 여건이 유리한 사마르칸트 지역에 설립될 가능성이 크다.

딜무로드 디지털화국장은 “우즈벡은 외국투자기업에 친화적인 제도를 갖췄고, 인건비 부담이 적은 고급 인재들이 많다”며 “사마르칸트에는 외국어 능력과 기술을 겸비한 청년 인력이 풍부해 AI 신뢰성 전문가로 양성하면 국제 산업 협력의 거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협력은 생성형 AI 기술 발전으로 단순 코딩 기반 인력 수요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우즈벡 정부가 소프트웨어 중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전환한 국가 정책 변화와도 맞물린다.

씽크포비엘은 지난해부터 국내의 낮은 AI 신뢰성 인력 수요를 보완하기 위해 해외 협력 모델을 모색해왔으며, 자체 AI 튜터를 활용한 비대면 교육 프로그램을 현지에 제안할 계획이다.

박지환 씽크포비엘 대표는 “중국과 태국 등에서도 AI 신뢰성 협력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며 “기술의 사회적 수용 기반을 확보하는 것이 진정한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도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행할 전문 인력 양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