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체감 중심 3대 주거복지사업 본격 추진
진주시가 시민 안전과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건축물의 설계와 건축을 넘어 유지관리와 해체까지 아우르는 ‘전 생애주기 통합 건축행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부강한 진주, 행복한 시민’이라는 시정 비전 아래 건축물의 노후화·방치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소규모 노후 공동주택 지원 △빈집 정비 △노후 굴뚝 철거 등 3대 시민 체감형 지원 사업을 집중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들 사업은 고령화, 빈집 증가, 도심 노후화 등의 지역 현실을 반영한 정책으로, 건축 안전과 도시미관 개선, 주거복지 향상이라는 다층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생활밀착 주거복지 ‘소규모 공동주택 지원사업’
진주시는 준공 후 10년 이상 지난 소규모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공용시설 보수, 에너지 절감 시설, 재해 복구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2020년부터 지속 추진하고 있다.
특히 관리주체가 부재한 소규모 단지의 경우 단지 내 보도, 주차장, 상·하수도 등 주요 공용시설의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시는 단지당 최대 2000만 원까지 지원하며, 올해 6개 단지를 대상으로 총 1억 2000만 원을 투입해 5개소의 개선사업을 완료했다.
도시 미관 회복과 범죄 예방 위한 ‘빈집 정비사업’
장기간 방치된 빈집은 도시미관 저해뿐 아니라 범죄 및 화재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진주시는 실태조사와 빈집 등급 평가를 통해 위험도가 높은 3등급 빈집을 중심으로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철거는 동당 최대 1350만 원, 안전조치는 500만 원까지 지원되며, 올해는 4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총 38동의 빈집을 정비하고 있다. 아울러 정비 후 발생한 유휴부지는 주차장이나 공동이용시설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도심 안전 위협 요인 제거 ‘노후 굴뚝 철거 지원’
과거 목욕탕 밀집 지역에 위치한 노후 굴뚝은 지진과 강풍에 취약한 구조물로 시민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이에 진주시는 올해 1억 8000만 원의 예산을 확보해 총 10개소의 굴뚝 철거를 추진 중이며, 현재까지 5개소 철거를 완료했다.
자진 철거 시 최대 2000만 원까지 철거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대곡면 소재 굴뚝 등 6개소를 대상으로 시범 정비를 마쳤다.
진주시는 이번 3대 건축행정 지원사업 외에도 도심재생 뉴딜사업, 생활SOC 확충, 스마트안전도시 조성, 균형 있는 생활권 개발 등과 연계한 종합 도시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진주시 조도수 도시주택국장은 “건축물은 건축 당시보다 사용 중과 해체 이후의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건축행정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들은 단순한 유지보수를 넘어 도시 공간의 재생과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진주시의 시정 철학이 고스란히 담긴 대표적 시민 체감형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기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