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이 멸종위기종 비단벌레를 국내 자연에 처음으로 방사하며 생물다양성 보존 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번 방사는 인공증식 기술을 생태계 복원으로 확장한 사례로, ESG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평가받고 있다.
효성은 지난 6월 19일부터 20일까지 양일간 경남 밀양 표충사 일대에서 임직원 2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비단벌레 자연 방사 행사를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숲속의작은친구들과 협력해 마련됐으며, 효성티앤씨와 효성중공업 소속 임직원들이 서식 환경 점검과 방사 작업에 직접 참여했다.
비단벌레는 초록·금색·붉은색 금속성 광택을 띠는 희귀 곤충으로, 천연기념물 제496호이자 멸종위기 1급 곤충으로 지정돼 있다. 개체 수가 극히 적어 보호 필요성이 높지만, 자연 방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활동은 지난해 9월부터 진행된 민관 협업의 결과다. 효성그룹 4개사는 ㈜숲속의작은친구들에 비단벌레와 물장군 인공증식 설비를 지원했고, 올해 4월에는 국립생태원 및 협력사와 함께 멸종위기곤충 복원 및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효성은 이번 비단벌레 방사를 계기로 멸종위기 생물 복원 사업의 민간 주도 모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황윤언 대표는 “국내 처음으로 멸종위기종 비단벌레를 자연에 복원한 것은 상징적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생태 보전을 위한 활동과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효성은 이 밖에도 해양생태계 보전을 위한 잘피 숲 조성, 멸종위기 철새 먹이 지원 등 다양한 생물종 보전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