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제조업 기업경기전망지수(BSI)가 ‘81’로 집계됐다. 전분기(79) 대비 2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준치(100)를 16분기 연속 밑돌면서 체감경기 회복이 여전히 더디게 나타났다. 수출 증가세가 일부 업종에서 두드러졌지만, 관세 부담과 내수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상승폭이 제한됐다는 분석이다.
29일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수출 부문 전망치는 ‘87’, 내수는 ‘79’로 집계돼, 건설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등으로 내수 기업의 체감경기가 더욱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89’, 중견기업 ‘77’, 중소기업 ‘81’로 집계돼 중소·중견기업의 체감경기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BSI는 해당 분기의 체감경기를 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 비율이 부정적으로 본 기업보다 높으면 100 이상, 낮으면 100 이하로 산출된다.
◆반도체·제약·화장품 수출 회복…철강·車·석유화학은 부진
업종별로는 관세 부담과 수출 실적에 따라 전망이 엇갈렸다. 반도체(109)와 제약(109)은 각각 22포인트, 7포인트 상승해 기준치를 상회했으며, 특히 반도체는 AI산업 확대에 따른 고부가 수요 증가가 긍정적 전망을 이끌었다. 화장품(113)은 유럽과 중동으로의 수출 다변화 전략에 힘입어 전체 업종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 관세 적용대상인 철강(67), 자동차(76)는 대미 수출 감소와 중국·일본산 철강재의 국내 유입 등 이중고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5월 기준 수출 증감률은 철강 –12.4%, 자동차 –4.4%로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석유화학 업종(72)도 글로벌 수요 위축과 유가 변동성 확대의 영향으로 침체된 흐름을 이어갔고, 비금속광물(51)은 건설경기 부진으로 최저 수준에 머물렀다.
지역별 전망에서도 업종 분포와 수요 회복 기대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제주(100)는 반도체와 식음료 수출 개선으로 기준치를 기록했고, 강원(97)은 관광 수요 회복과 소비심리 개선 영향으로 비교적 선방했다. 반면, 인천(63), 대구(64), 경북(69), 울산(75), 경남(79)은 철강·자동차·석유화학 업종의 관세 부담과 수요 부진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전남(83)도 석유화학 산업의 글로벌 침체 영향으로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기업 절반 이상 “상반기 매출 목표 미달”…관세·수요 부진 영향
기업 절반 이상이 상반기 매출이 목표치에 미달했다고 응답했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제조기업의 54.1%가 매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며, 이 중 16.4%는 10% 이상 초과 미달, 37.7%는 소폭 미달로 응답했다. 목표를 초과 달성한 기업은 12.6%에 그쳤다.
기업들은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대내외 수요 위축과 함께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변동, 관세 조치를 꼽았다. 내수 부진(64.7%)이 가장 많은 응답을 받았으며, 대외 요인으로는 원자재가 상승(30.9%), 해외수요 부진(23.8%), 환율(19.3%), 관세(18.0%) 순으로 조사됐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반도체와 일부 수출 업종을 중심으로 체감경기가 다소 개선됐으나, 관세 부담이 본격화되며 대미 수출 위축 등 기업 부담이 여전하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와 국회가 통상 불확실성 완화, 규제 개선, 내수활성화 대책 등을 통해 기업심리 회복과 하반기 경기 반등의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