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가 리튬을 생산하는 아르헨티나 염호.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홀딩스가 리튬을 생산하는 아르헨티나 염호.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그룹 지주사 포스코홀딩스가 호주 자원 개발 기업인 앤슨리소시즈와 '리튬직접추출(DLE) 기술' 실증을 위한 데모플랜트 구축과 운영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북미 리튬 공급망 구축을 위한 결정으로, 국내 기업 최초로 북미 현지에서 DLE 기술 실증 사업에 나선다.

이번 MOU 체결에 따라 포스코홀딩스는 미국 유타주(州) 그린리버시티 내 앤슨리소시즈가 염수 리튬 광권을 보유한 부지에 데모플랜트를 건설하고 DLE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번 DLE 데모플랜트 투자 추진은 리튬 자원 추가 확보 및 미래 기술 경쟁력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 전략의 일환이라고 포스코홀딩스는 설명했다. 포스코홀딩스는 '2 Core(2 코어) + New Engine(뉴 엔진)'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이차전지소재 사업 중에서도 특히 리튬 자원 공급망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미국 현지 데모플랜트의 성공적 운영을 통해 지난 2016년부터 독자 개발해온 DLE 기술의 상용화를 완성하고 이를 북미 지역 미개발 리튬 염호 투자 및 사업화에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염호에서 리튬을 생산하는 전통적 방식은 폰드(pond, 담수)를 활용한 '자연증발법'이다. 그러나 자연증발법은 일조량이 풍부한 지역에서만 사업화가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DLE 기술은 대규모 증발 폰드 없이도 농도가 낮은 리튬 염호에서 경제성 있게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혁신 공법이다.

이에 북미 지역에서 리튬 자원을 개발하고 사업화 하기 위해서는 DLE 기술 확보가 필수적으로. 글로벌 리튬 기업들은 저농도의 염수 리튬 자원 개발을 위해 DLE 기술 확보 및 활용을 본격화하고 있다는게 포스코홀딩스의 설명이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앤슨리소시즈는 리튬 원료와 부지를 제공하고 포스코홀딩스는 DLE 기술의 사업성 검증에 본격 착수한다. 양사는 실증 결과에 따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등 추가 협력 가능성도 함께 검토하기로 했다.

한편 포스코홀딩스는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연산 2만5000t) 공장,  전남 율촌산업단지 내 광석 리튬(연산 4만3000t) 공장을 잇달아 준공하며 전기차 약 16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인 연산 6만8000t 규모의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을 확보한 상태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