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왼쪽)와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정현보 상무가 엑스블 숄더 1호 전달식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기아 제공
현대자동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왼쪽)와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정현보 상무가 엑스블 숄더 1호 전달식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기아 제공

현대자동차·기아가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능률을 올리고 근골격계 부담을 낮춰주는 '착용로봇'을 항공 정비 업무에 본격 도입한다고 9일 밝혔다.

지난 8일 현대차·기아는 인천시 중구에 위치한 대한항공 항공기 정비고에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정현보 상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용 착용로봇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의 1호 전달식을 진행했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자체 기술로 개발한 엑스블 숄더는 반복적인 윗보기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의 어깨 근력을 보조한다. 근골격계 부담을 줄여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낮추고 작업 피로도를 경감시켜 생산성을 높여준다.

가장 큰 특징은 무동력 토크 생성 구조로 설계돼 가볍고 별도로 충전할 필요가 없어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하다는 점이다.

또 근력 보상 모듈을 적용해 보조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어깨 관절 부하와 전·측방 삼각근 활성도를 각각 최대 60%와 30% 경감할 수 있다고 현대차·기아는 설명했다.

이번 전달식은 현대차·기아가 지난해 11월 엑스블 숄더의 사업화 계획을 밝힌 이후 제품을 계약 고객에게 처음으로 전달한 자리다.

1호 고객으로 선정된 대한항공은 항공우주사업본부의 군용기 및 민항기, 무인기, 도심항공교통(UAM), 우주 발사체, 스텔스 항공기 등을 조립·정비하는 현장에 엑스블 숄더를 우선 도입한다.

특히 항공 산업은 높은 기체 규모로 인해 작업자가 정비 시 윗보기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에 어깨 부위의 신체 부담을 줄여주는 착용로봇의 적용 효과에 대해 양사는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로보틱스랩은 지난 2022년부터 시제품을 현대차·기아의 글로벌 생산 공장에 시범 적용하고 300명이 넘는 현장 작업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였다.

현대차·기아는 전달식을 시작으로 사전 계약을 진행한 현대차그룹 계열사, 국내 제조 기업 등 다양한 고객사로 엑스블 숄더를 본격 인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향후 건설, 조선, 농업 등의 산업군에도 판매를 확대하고 내년부터는 글로벌 시장 진출도 추진할 예정이다.

엑스블 숄더의 상세정보 및 가격은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공식 홈페이지에서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구매 상담 또한 진행 가능하다.

한편 엑스블 숄더는 지난 2월 유럽연합의 통합 인증마크 등록 기관인 'DNV'로부터 안전성을 증명하는 'ISO 13482 인증'을 받았고 이어서 지난 5월에는 '기계류 지침 인증'을 획득했다.

이밖에도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2025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부문 본상을 수상했으며 지난해에는 미국 '굿디자인 어워드' 로보틱스 부문에서 우수 디자인을 수상한 바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