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AI 기업과 '국방 AI 기술자립 및 생태계 조성' MOU
한화시스템이 국내의 대학 및 AI(인공지능) 기업들과 함께 국내 방위산업 분야에서 처음으로 '한국형 소버린(Sovereign·주권) AI'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10일 한화시스템은 서울대학교·카이스트(KAIST)·포항공과대학교(POSTECH)·네이버클라우드 등 10여 개의 국내 대학, AI 선도기업, AI 중소기업들과 '국방 AI 기술자립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한 방산 분야에서 국내 대학 및 기업들과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해 대한민국의 군(軍)을 위한 AI 기반의 'K-방산'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한화시스템은 이번에 MOU를 맺은 국내 기관과 함께 대공방어를 위한 '미래형 전장(戰場) 상황인식 AI모델'의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 우리 군이 실시간으로 위협을 분석하고 최적의 무기체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실시간 수집 및 위협 분석·식별 ▲AI 지휘결심 지원 등의 인공지능 모델과 의사결정 체계를 국내 기술로 최적화할 예정이다.
국방 AI 분야는 해외 AI 기술에 의존하게 되면 기밀 데이터 유출 및 무단수집 등 보안 이슈와 한국 맞춤형 솔루션 구현 및 정보통제의 한계, 해외 서비스 정책과 규제 종속, 선택적 서비스 제한 등 다양한 외부 변수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한화시스템은 이번 대규모 협약 릴레이를 통해 대한민국 자체 국방 AI 모델을 확보하고 자주권과 직결된 국방·산업 안보에 있어 해외 의존을 최소화 하는데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국방기술 혁신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CONNECT:H(커넥트:H)'를 통해 지난 2021년부터 무인자율과 AI 기술을 개발해왔다.
지난 2022년부터는 군인공제회와 밀리테크(군사기술) 분야 벤처펀드를 조성해 AI·양자컴퓨팅·사이버보안 등 육해공·우주·사이버 등 미래전(戰) 기술주권 확보가 시급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