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비율 도내 1위… 일자리·정주 기반 지속 확대
진주시가 최근 5년간 청년 인구 유출률이 경남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주시는 전국적으로 저출생과 고령화,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화되는 가운데, 청년층의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점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시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진주시의 전체 인구는 2.67% 감소했다. 18세부터 39세까지의 청년 인구 감소율은 –10.05%를 기록했다. 이는 경남 평균치인 –16.42%보다 현저히 낮고 경남 18개 시·군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다.
2023년 3월부터 이어진 청년 인구 비율 도내 1위 기록도 이어지고 있다. 2025년 6월 말 기준으로 진주시의 청년 인구 비율은 전체의 24.94%에 달한다.
진주시는 청년이 머물 수 있는 도시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과 중소기업 취업 청년 복지지원금,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 면접 정장 대여사업 등 실질적 취업 지원책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창업 활성화를 위해 상평일반산단의 휴·폐업 공장을 리모델링하고, 진주 그린스타트업타운,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를 조성 중이다. 이와 함께 진주지식산업센터, 창업지원센터, 바이오산업진흥원 등에도 창업 공간을 마련해 160여 개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문화와 여가 인프라 확충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진주시는 본성동 일대에 복합문화공간을 조성 중이며, ‘진주진맥 브루어리’, ‘올빰 토요야시장’, ‘호프 1884’ 맥주축제, e스포츠 커뮤니티센터 등을 통해 청년 친화적 도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 2026년 완공을 목표로 청년 허브하우스와 청년 머뭄센터도 추진되고 있다.
시는 이러한 기반 위에 우주항공산업, 그린바이오산업 등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정주 기반을 더욱 다지겠다는 계획이다.
시 인구청년정책관은 “청년 유출은 지방도시의 구조적 한계로 남아 있으나, 진주시는 교육·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청년 친화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도시 기반을 구축해 모든 세대가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기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