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AI 기술을 결합한 5G특화망 사업을 확대하며 차세대 통신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사진은 LG CNS 본사 전경. LG CNS 제공
LG CNS가 AI 기술을 결합한 5G특화망 사업을 확대하며 차세대 통신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섰다. 사진은 LG CNS 본사 전경. LG CNS 제공

AX 전문기업 LG CNS가 AI 기술을 결합한 5G특화망 사업을 본격 확대하며 차세대 통신 인프라 시장 공략에 나섰다.

LG CNS가 5G특화망에 ‘AI 기반 지능형 무선망 기술(AI-RAN)’을 접목해 5G특화망 고도화에 속도를 낸다고 23일 밝혔다. 5G특화망은 기업이나 기관이 특정 용도에 맞춰 독립적으로 구축하는 전용 통신망이다. 일반 5G보다 보안성과 통신 안정성이 뛰어나 공공과 산업 현장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AI-RAN은 기지국과 네트워크 서버의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최적의 통신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AI가 통신망을 스스로 학습하고 조절함으로써 데이터 오류율을 10% 이상 줄이고 전송 효율을 높인다. 6G 핵심 기반 기술로도 꼽힌다.

LG CNS는 AI-RAN의 성능을 한층 강화했다. 기존에는 로봇이나 AI CCTV처럼 AI 분석·추론이 필요한 장비를 운영할 때, AI 서버와 네트워크 서버를 각각 구축해야 했다. 하지만 LG CNS는 두 서버를 통합해 하나의 장비로 AI 분석과 통신 처리를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통신 지연을 줄이고 서버 구매 비용도 3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실제 LG CNS는 국내 주요 공항 한 곳에 AI 기반 5G특화망을 구축한다. 공항 내 AI CCTV 운영을 위한 것으로, 통제구역에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이상행동을 할 경우 AI가 자동으로 분석·알림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전달과 분석이 동시에 이뤄지는 만큼 고도화된 통신 인프라가 필수다.

LG CNS는 공항 환경에 맞춰 사용자정보 암호화, 불법접속 차단 등 고도화된 네트워크 보안 체계도 함께 갖춘다.

이 외에도 LG CNS는 공공기관, 산업단지, 건설현장, 데이터센터, 학교, 연구기관 등 다양한 산업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24년 9월에는 인천국제공항에서 ‘다기종 로봇 제작 및 5G 디지털트윈 관제 구축사업’을 수주해 로봇 안내, 셀프체크인, 순찰 등의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 구축에 나섰다.

LG CNS는 2022년부터 기간통신사업자 자격을 보유하고 5G특화망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망독점과 경쟁 부재를 방지하기 위해 기존 이동통신사에는 기간통신사업자 자격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LG CNS는 이 분야에서 드문 사업자 중 하나다.

LG CNS 관계자는 “AI 기반 5G특화망은 6G 시대를 여는 핵심 기술”이라며 “AI 융합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차세대 통신 시장을 선점하고, 고객의 AX 혁신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LG C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