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교해진 수법에 ‘선입금 요구’ 피해 3천만 원… 시민·업체 주의 당부
창원특례시가 최근 시청 직원을 사칭한 피싱 사기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시민과 지역 업체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사건은 실제 공무원의 이름과 부서를 도용한 치밀한 수법으로 피해금액이 3,000만 원에 달했다.
사건은 지난 5일, 창원시 소재 한 인쇄‧광고대행업체에서 발생했다. 피의자는 시청 회계과에 실제 근무하는 직원을 사칭해 전화를 걸었다.
그는 “마산보건소와 거래하는 한 업체가 학교 지원용 ‘흡연측정기’ 단가를 지나치게 높게 책정했다”며 “긴급한 사안이니 해당 물품을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청했다.
업체가 처음에는 의심하며 거절했으나, 피의자는 “감사실과 이미 협의가 끝난 사안이며, 추후 회계과 계약을 통해 금액을 보전해 주겠다”는 말로 신뢰를 유도했다.
이어 특정 계좌로 물품 대금을 선입금하도록 설득했고 피해 업체는 결국 3,000만 원을 송금했으나 해당 계좌는 명의 도용 계좌로 확인됐다.
창원시는 이번 사건에 대해 “최근 공무원 사칭 사기는 단순 전화사기 수준을 넘어, 실제 근무자 신원, 직위, 부서명까지 활용하는 정교한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공문서 형식의 문자·이메일, 공식 회의 언급 등 ‘그럴듯한 명분과 절차’를 내세워 피해자의 경계심을 무너뜨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공공기관 사칭 사기 피해 건수는 3,000건 이상이며, 피해액은 약 500억 원에 달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나 학교, 보건소 등 지역 기반 신뢰가 높은 기관을 노린 범행이 증가 추세를 보인다.
창원시 관계자는 “창원시를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은 계약·물품 구매 과정에서 절대 선금을 요구하지 않는다”며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즉시 시청 자치행정과 또는 경찰에 신고하고 반드시 공식 연락처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사건 내용을 시청 홈페이지, 공식 SNS,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신속히 공유하고 있으며, 지역내 업체를 대상으로 ‘공무원 사칭 사기 예방 안내문’을 배포하고 있다.
또한 지역 상공회의소, 소상공인 단체와 협력해 ‘의심 전화 즉시 확인’ 캠페인을 추진해 재발 방지에 나설 방침이다.
한편, 기관을 사칭하는 범죄는 신뢰를 무기로 하기에, 피해 예방의 핵심은 ‘선입금 절대 거부’와 ‘공식 경로 재확인’”이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태양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