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담 완화·수출 다변화 총력…금융·고용 안전망까지 확대

창원시 박진열 경제일자리국장이 21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미국 관세 관련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창원시 박진열 경제일자리국장이 21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미국 관세 관련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창원특례시가 미국의 고율 관세와 파생상품 과세 강화로 직격탄을 맞게 된 지역 수출기업을 돕기 위한 긴급 지원책을 내놓았다.

박진열 경제일자리국장는 21일 브리핑을 통해 관세 대응에서 금융 지원, 신시장 개척과 고용 안정까지 아우르는 종합 대책을 발표하며 기업 피해 최소화에 나섰다.

창원은 기계·금속가공과 자동차·부품 산업이 밀집해 전국 평균의 두 배가 넘는 32.7%의 대미 수출 의존도를 보이고 있어 관세 충격이 현실화될 경우 지역 제조업 전반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철강·알루미늄·구리 제품에 대한 50% 고율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미국 정부가 지난 8월 기계·전기전자 등 407개 품목을 신규 과세 대상으로 지정하면서 원산지 증명과 통관 절차가 복잡해져 기업들의 채산성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는 이에 따라 KOTRA, 무역협회, 무역보험공사, 창원상공회의소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는 ‘관세 비상대응 협의체’를 이달 중 가동하고, 9월에는 관세정책 대응 설명회를 열어 기업과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또한 창원산업진흥원 내에 ‘관세 대응 기업애로 지원센터’를 설치해 관세사가 직접 기업을 찾아가 품목 분류와 관세 완화 방안을 컨설팅하도록 할 방침이다.

금융 지원도 확대된다. 창원시와 BNK경남은행은 300억 원 규모의 특별자금을 조성해 철강·알루미늄·구리 관련 수출기업과 협력업체에 업체당 최대 3억 원까지 지원하며, 지원 받은 기업은 담보나 신용도에 따라 확정되는 이자율에서 3.06%를 감면 혜택을 받아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로 대환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육성기금에 ‘특례기업’을 지정해 융자 한도를 최대 10억 원까지 상향 조정하고, 수출보험료 지원 대상은 200개사로 확대했고 대미 수출물류비는 기업당 최대 500만 원까지 보조한다.

수출 다변화를 위해 해외 바이어 초청 상담회 참여 기업을 45개사로 늘리고 해외전시회 공동관 운영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미주 지역에 글로벌 비즈센터 2곳을 추가 설치해 현지 시장조사와 바이어 발굴, 전시회 참가를 지원할 예정이다.

철강·자동차 산업 종사 근로자를 위한 고용 안전망도 가동된다. 국비와 도비를 포함해 22억 4000만 원을 투입, 근로자들에게 교통비와 고용유지지원금, 고용안정지원금을 지급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박진열 경제일자리국장은 “이번 대책은 기업이 관세 충격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도록 돕는 데 중점을 뒀다. 창원시는 앞으로도 기업과 긴밀히 소통하며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태양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